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 툼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10
지침의 회전으로 바꿔 눈금판에서 읽도록 만든 계기 스핀들형에서는 돌출한 스핀들의
끝
을 측정하려는 물체에 접촉시켜 그 변위를 랙(rack)과 피니언(pinion) 및 평톱니바퀴를 써서 지침의 회전으로 바꾼다 다이캐스트에 사용되는 아연합금 아연합금은 녹는점이 낮아 용융 · 주조용으로 알맞고, 특히 ... ...
영어발음 미국인처럼 할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0210
이런 대립이 없다. 다만 모음 사이에서는 ‘ㄹ’이 [r]로 나고 낱말이나 음절
끝
에서는 [l]로 난다. 그러니 두가지 소리가 다 발음되기는 하나, 소리나는 자리가 다르고 쓰임이 달라서 뜻을 구분하는 기능을 하지 못한다. 즉 음운대립이 없어 차이를 의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일본사람의 경우에는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m, 적위 +2°~+21°에 연한다3개의 4등성과 1개의 5등성이 작은 마름모 꼴을 하고 있고 여름철
끝
무렵 초저녁에 남쪽 하늘 높이에서 볼 수 있다9월 하순 저녁 8시경에 남중한다삼방정계(三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고회석(苦灰石) · 백운석(白雲石)이라고도 한다 탄산석회와 탄산마그네슘이 1대 1로 ... ...
눈으로 단어를 입력한다
과학동아
l
200209
“카메라가 안구의 움직임을 기록해 컴퓨터 화면에 즉시 그 움직임을 재현할 겁니다. 마르탱씨가 안구를 움직일 때마다 카메라가 그것을 감지해서 신호를 전달하면 그 ... 정확한 소프트웨어”라고 말했다. 문명의 이기인 각종 인터페이스 장치가 가져올 변화의
끝
은 과연 어디까지일까 ... ...
미 해군의 음파탐지기는 해양 동물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09
있으며 만일 이 표면에 수직의 나사형 어긋나기가 하나만 존재한다면 그 점에서 결정의
끝
까지 스텝이 존재하여 끊임없는 성장중심이 되므로, 나사형 성장이론에서는 2차원핵의 가정이 필요없게 된다결정어긋나기의 하나 나선전위(螺旋轉位)라고도 한다 격자면(格子面)에 따라 한바퀴 어긋나게 ... ...
인라인 스케이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9
남아있으면 멈출 수 없다. 앞으로 내민 발에 체중이 확실히 실린 것을 확인하면 천천히 발
끝
을 들어 브레이크를 건다. 처음에는 앞으로 내민 발의 무릎 위에 손을 놓으면 체중을 좀더 쉽게 실을 수가 있다. 고무의 마찰력은 아주 크기 때문에 브레이크는 최대한 부드럽게 건다. 브레이크를 건다는 ... ...
도구 사용하는 까마귀
과학동아
l
200209
그 다음에 일어났다. 아벨이 베티의 갈고리 철사를 빼앗자 베티는 일직선 모양의 철사
끝
을 구부려 새로운 갈고리를 만들었다. 계속된 10번의 실험에서 베티는 9번이나 갈고리를 만드는데 성공했다.칼레도니아 제도에 사는 까마귀들은 나무나 돌 틈의 벌레를 잡기 위해 나뭇잎이나 가지 등 갈고리 ... ...
태양계 최대 강풍 부는 극한지대 해왕성
과학동아
l
200209
트리톤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6개의 위성을 추가로 발견했다. 그리고 트리톤과의 만남을
끝
으로 12년 동안 지나온 길을 벗어났다. 현재는 매년 4억7천만km씩 지구에서 멀어지고 있다. 보이저에는 혹시나 만날 외계인을 위해 지구의 자연과 인공의 소리를 담은, 금으로 만들어진 음반이 실려있다. ... ...
초상화 관상법으로 선조 질환 밝힌다
과학동아
l
200209
벼슬을 지낸 사람들 중에도 애꾸눈이거나 저승꽃으로 불리는 검버섯이 만발한 사람, 코
끝
이 빨개지는 코주부 등 피부질환을 앓은 사람이 많았다. 지금처럼 외모가 곧 경쟁력이라는 생각은 아예 상상할 수 조차 없었다.”고 말한다.그가 조선시대 초상화에서 찾아낸 가장 흔한 질환은 역시 ... ...
2만 보면 오렌지가 생각난다?
과학동아
l
200209
봅니다. 그런 고향을 정지용의 ‘향수’만큼 잘 표현한 시가 있을까요. ‘넓은 벌 동쪽
끝
으로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배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론 울음을 우는 곳,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굳이 시골 출신이 아니어도 이 시를 들으면 눈앞에 고향이 보이는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