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은하’가 우주에서 줄 맞춰 도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관측한 뒤 움직임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
일자
(현지시간)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빛의 속도로 약 1500만 년 가야 하는 거리에 위치한 센타우루스 알파 은하 주변의 위성은하를 관측했다. 센티우루스 알파는 모두 16개의 위성은하를 지니고 있는데 ... ...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과학동아
l
2018.02.02
스스로 전기를 내는 전기뱀장어를 모방한 마이크로 크기의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가 개발됐다. 전기뱀장어는 전기발생세포(electrocyte)가 생체 내 이온의 농도 ...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016/j.nanoen.2017.11.05 ... ...
[포토] 화성의 얼음 퇴적물, 3차원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18.02.02
새파란 얼음이 켜켜이 쌓여 있는 이곳은 어딜까. 화성정찰위성(MRO)의 고해상도 카메라가 찍은 화성 지각의 단면. 지하에 있던 얼음퇴적물이 노출돼 있는 부분을 파란 ... 이전 보다 상세히 분석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1월 12
일자
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o161 ... ...
피를 보면 암이 보인다! 암 조기검진 ‘액체생검’ 기술은 진화중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이를 실제 암 환자 1000여 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해 그 결과를 학술지 사이언스 1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 코언 연구원 팀은 존스홉킨스 루드위그 암센터에서 30년 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암과 관련이 높은 유전자와 단백질 후보를 찾았다. 먼저 40종의 암 유래 단백질과 수백 종의 암 변이 ... ...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
과학동아
l
2018.02.01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월 11
일자
에 발표했다. GIB 제공 연구팀은 지방이 21.2%를 차지하는 식단을 한 달간 먹인 쥐와 지방 14%, 단백질이 25%인 식단을 먹인 쥐의 혈액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고지방 식단을 먹은 쥐의 혈액에서 과립구와 단핵구와 같은 ... ...
민감한 연구시설 훤히 보이는데...“연구단지 복판에 고층아파트 짓지말라“
동아사이언스
l
2018.01.31
21일 ‘대전시 도시공원위원회’를 열어 관련 사업에 대한 재심의 결정을 내렸다. 재심의
일자
는 2월 2일로 예정돼 있다. 출연연 관계자 사이에선 매봉공원 부지에 아파트가 들어설 경우 국가 보안시설이 그대로 노출된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계획대로라면 ETRI 및 부설 국가보안연구소를 포함, ... ...
석유 아닌 미생물로 페트병 만들고 분해도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수 있는 기술이지요. 두 연구는 각각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월 8
일자
와 26
일자
에 게재됐습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페트를 만드는 원료입니다. 원유에서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공정은 친환경적이지 않은데다 원유 매장량마저 고갈되어가는 시점이라 원유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아무튼 딱한 일이다. 가격 급락하며 식품첨가제로 쓰여 학술지 ‘네이처’ 1월 18
일자
에는 가습기살균제가 연상되는, 그럼에도 인과관계가 여전히 이해가 잘 안 되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세상일이 이렇게도 돌아갈 수 있구나’ 하는 상황인데, 막상 결과를 놓고도 가습기살균제처럼 책임자를 ... ...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01.30
내구성을 높이는 독특한 구조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 Silke Baron 연구팀은 갯가재의 다리를 긴 나선형 구조의 섬유로 이뤄진 부분과, 빽빽하게 줄무늬가 있는 부분 등 두 영역으로 나눴다. 연구팀은 다리의 바깥쪽을 감싸고 있는 줄무늬 부분이 ... ...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인공지능과 결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30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29
일자
(현지 시간)에 발표했다. 크리스퍼는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 부위 등 목표 유전자를 스스로 찾아 잘라서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유전자 가위는 절단이 잘 일어나는 최적의 DNA 부위를 얼마나 잘 찾느냐에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