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식중독 악당들의 정체를 공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열에 약하다.원인식품 달걀, 쇠고기, 우유. 특히 달걀은 우리나라에서 살모넬라 원인식품 1위. 특징 보툴리누스균이 분비하는 보툴리누스 독소는 복어의 독보다 약 1000배 이상 강력할 정도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독소 중 매우 강력한 편이다. 산소가 있는 곳에서 살지 못하는 대신, 통조림이나 진공 ... ...
- [이달의 과학사] 1974년 6월 26일 삐빅! 첫 번째 바코드 찍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코드는 미국의 발명가 노먼 조셉 우드랜드와 친구 버나드 실버가 만들었어요. 1949년 1월, 슈퍼마켓 손님들이 물건을 빨리 사서 나가는 방법을 찾던 우드랜드는 손가락으로 해변의 모래를 긁다 바코드의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모래에 남은 길쭉한 선처럼 여러 개의 막대에 상품 정보를 담자는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아슬아슬 서낭바위를 조각한 주인공은 파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모습이 마치 용이 올라가는 것처럼 영험해 보여요. 그래서 죽왕면 오호리 주민들은 매년 1월, 이곳에서 고기를 많이 잡게 해달라는 풍어제를 지냅니다. 가까이 제사를 지내는 서낭당이 있어 바위 이름이 ‘서낭바위’가 되었죠.서낭바위 역시 신령한 힘이 깃들어 보입니다. 이 바위의 신기한 점은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인류는 익히지 않은 고기, 견과류, 뿌리와 같이 질기고 거친 음식을 먹었어요. 그러다 1만 년 전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부드러운 음식을 먹게 되었지요. 그 결과 돌출돼 있던 턱이 점점 들어갔어요. 이렇게 인류의 턱이 작아지자 입 속 깊숙이 있는 사랑니가 잘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해졌어요. ... ...
- [그래프뉴스] 내가 먹은 짜장라면 이이렇게 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짜장라면과 비빔라면, 볶음라면에 지나치게 많은 ‘나트륨’이 들어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어요. 소금의 성분인 나트륨은 짠맛을 내는 영양소예요. 나트륨은 적당히 먹 ... 있어요. 용어정리*mg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로 ‘밀리그램’이라고 읽어요. 1mg은 1g(1그램)의 1000분의 1을 뜻해요 .. ...
-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사막개미의 길 찾기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그런데 모래 바람이 자주 부는 사막개미들에게는 또 다른 길 찾기 비결이 있어. 비결1. 한 번 맡은 냄새는 잊지 않아!사막에 사는 개미들은 보통의 개미들보다 훨씬 더 뛰어난 후각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해요. 2018년 독일의 막스플랑크화학생태연구소는 사하라 사막에 사는 개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 ...
- [특집] 헬러윈에 나타난 악마의 정체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분장했다고 해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헬러윈에 나타난 악마의 정체는? Part1. 악마의 소수를 외쳐라!Part2. 뱀파이어의 송곳니는 어디에?Part3. 마녀의 외침 “난 억울해!”Part4. 악마의 핼러윈 ... ...
- [특집] 뱀파이어의 송곳니는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법을 알려주면 더 빨리 찾아줄 수 있어요.”뱀파이어는 송곳니가 수라고 대답했어요.“1260 같은 수를 ‘뱀파이어 수’라고 해. 뱀파이어 수를 이루고 있는 숫자들을 한 번씩만 써서 자릿수가 같은 한 쌍의 수를 만들어. 12와 60처럼 말이야. 쌍을 이루는 두 수를 곱했을 때 원래의 수, 즉 1260이 나오면 ... ...
- [과학뉴스] 중국발 요소수 공급부족 사태, 진정 국면 들어서나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주유소에 공급되며 사태는 조금씩 진정되고 있다. 김법정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은 11일 브리핑에서 “중국과 제3국을 통해 들어온 물량을 종합하면 올해 말까지 요소수가 크게 부족한 상황은 아니다”라며 “불안 심리 때문에 매점매석을 하거나 사재기를 하는 것이 문제”라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고래는 생각보다 더 대식가였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990년대 연간 1만 2000t의 철이 고래의 먹이 활동으로 순환됐지만, 오늘날에는 10분의 1 수준인 1200t으로 줄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매튜 사보카 미국 스탠퍼드대 홉킨스 해양기지 연구원은 “고래의 개체수를 늘리면 해양 생태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