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나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쭝국
중국문학
문학
중화
d라이브러리
"
중국
"(으)로 총 3,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실을 재는 하늘의 저울 천칭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7개의 별들이 그릇 모양으로 이어진 작은 별자리다. 어둡지만 반원형의 곡선이 또렷해서
중국
과 서양에서 모두 같은 모양으로 별자리를 그려왔다. 신화에선 이 그릇 모양의 곡선이 미노스의 딸이자 술의 신 디오니소스의 아내가 된 아리아드네의 금관으로 알려져 있다. 아리아드네는 아테네의 왕자 ... ...
Ⅴ. 기록에 도전하는 건축 기네스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유명하게 됐다. 또한 세계 10대 건물 중
중국
권에 4개가 있어 마천루의 메카인 미국에
중국
의 도전이 맹렬하다.우리나라도 (주)대우에서 인천송도에 1백층 규모 건물의 기본설계를 하고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미국의 건축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1950년대에 높이 1천6백m의 마천루를 구상한 바 ... ...
마음의 괴로움이 병을 부른다 '심신의학'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홧병(火病)이 그렇다.홧병은 한방의 화(火)의 개념에서 나온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본이나
중국
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우리 고유의 병명이다. 홧병에 걸린 많은 사람들은 한(恨)이 가슴에 맺혀 있는데 풀지 못해서 이런 병이 생겼다고 믿고 있다. 이들의 표현에 따르면 “뭐가 꽉 막혀서 치밀어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지구전요’에서 최한기는 서양의 천문학자들은 대부분 코페르니쿠스의 설을 따르고
중국
인 중에서도 천문학에 정통한 사람들은 그의 설을 따른다고 강조하면서 자신도 이를 지지했다.그러나 그는 1857년까지만 해도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을 접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천체의 자전과 공전의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북극성은 북극에서 0.7도 떨어져 있는데, 2102년에는 하늘의 북극에 0.46도까지 접근한다.
중국
에서는 한나라 시대 이래로 당시의 북극성 이었던 베타(β)별을 포함한 5개의 별로 이루어진 북극5성(北極五星)을 차례로 북극성으로 삼아왔다.큰곰자리 Ursa Major큰곰자리는 하늘에서 바다뱀과 처녀자리에 ... ...
고대) 로제타스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측면만을 표현했다고 한다. 복잡한 것은 정면과 측면을 짜맞추어 상형문자로 만들었다.
중국
의 갑골(甲骨) 문자 역시 상형문자의 대표적인 사례다. 기원전 18세기 경 거북의 껍질이나 큰 동물의 어깨뼈에 새겨놓은 형태다. 내용은 다분히 주술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신이나 오래 전에 죽은 조상과의 ... ...
하늘에서 가장 긴 별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바다뱀자리 사이의 별이 드문 지역에 자신의 육분의를 그려넣어 별자리로 만들었다.
중국
에서는 하늘의 재상을 상징하는 ‘천상(天相)’으로 불렸다.까마귀자리와 컵자리 Corvus & Crater●컵 대략위치: 적경 11시 24분, 적위 -16도 ●자정남중 3월 22일, 별 수 11개●까마귀 대략위치: 적경 12시 27분, 적위 -1 ... ...
② 정보통신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참석해 화기애애한 가운데 진지한 학술토론을 전개했다. 1996년에 이르러 남북과
중국
대표단은 정보처리용어 통일안, 자판배치 공동안, 우리글자 배열순서 공동안 및 부호계 공동안에 합의를 봄으로써 앞으로의 남북한 학술교류에 있어 매우 고무적인 하나의 이정표를 만들었다. 하루속히 남북한 ... ...
우주가 만든 바람개비 우리은하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소의 머리를 가진 달의 신 하토르의 젖에서 흘러나온 천상의 나일강이라고 생각했고,
중국
에서는 무릉도원으로 이어지는 강이라 여겼다. 또한 매년 칠월 칠석이면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던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를 건너 만나게 된다는 전설도 유명하다.그리스의 신화에서는 은하수를 여신 ... ...
'잘 나가는' 제비의 자식 사랑 부부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것이다.목숨 걸고 전해준 봄소식우리나라에서 여름을 난 제비는 소위 ‘강남’이라는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이동한다.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 살던 제비가 가장 많이 겨울을 나는 곳은 인도차이나(타이)지역이라고 한다. 이들의 하루 이동거리는 2백-6백km 정도인데, 단숨에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