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의 로또, 상온핵융합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들여다보면 논의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한편 상온핵융합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낸
전문가
들조차 에너지부가 정밀한 상온핵융합 연구를 지원해야 한다고 권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겔 교수는 “수개월 안에 연구계획서를 접수할 것”이라며 “나 역시 이 실험에 뛰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프랭크 다이슨과 긴밀한 관계였다. 다이슨은 상대성이론의
전문가
는 아니었지만 에딩턴으로부터 상대성이론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1919년 일식 때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관측대를 파견하자고 처음으로 제안했던 인물이기도 하다.그의 ... ...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담겠다는 원대한 구상을 내놓았다. 그후 조류학자, 철새이동
전문가
, 생물학자, 촬영
전문가
등을 만나 자문을 구했다. 이렇게 1년간 준비한 결과 처음엔 다소 황당해 보였던 그의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져 1998년 마침내 영화제작에 들어가게 된다. 제작자들은 조류학자의 조언에 따라 27종의 철새를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수도 있다.그렇다면 미래 부엌 내 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은 과연 무엇이 될까. 대다수의
전문가
들은 냉장고를 제일 순위로 보고 있다.MIT 미디어랩 선반지능화 연구팀은 지난 1990년대부터 똑똑한 냉장고인 ‘쿨I/O’를 개발중이다. 이 냉장고에는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역할 외에도 부엌 안에 있는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타고난 것이었다고 보도하면서 다시 한번 아인슈타인을 신격화시켰다. 하지만 현재
전문가
들은 아인슈타인의 뇌가 크게 보면 보통 사람의 뇌와 별반 차이가 없다고 얘기한다. 아인슈타인의 천재성이 보통 사람들보다 특출한 뇌 때문은 아니라는 뜻이다.결국 아인슈타인의 천재적 발견의 과정은 ... ...
과학책에 인생을 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깊이 있는 책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카오스이론’ 등 외국책은 한 가지 주제를
전문가
의 시각으로 폭넓게 다룬 과학책이 베스트셀러가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중에 영합한 책들이 시장을 차지하고 있다는 아쉬움 때문이다. 그는 “저력이 있는 젊은 과학저술가들이 과학자도 참고하고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우리나라도 배아복제에 대한 찬반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 정부가 세계적 복제
전문가
인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에게 거액의 연구비를 주기로 한 것이 발단이 됐다.과기부의 ‘묻지마 투자’지난 10월 20일 황 교수 연구팀은 잠정 중단했던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재개하겠다고 공식 ... ...
슈퍼맨은 정말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 공상과학소설 작가와 만화가로 활동하는 두 저자는 이 책으로 지난해 의사소통
전문가
협회에서 2개의 상을 받았다.저자는 슈퍼맨이 보통 지구인보다 1000배나 힘이 세다고 지적한다. 중력의 차이로 슈퍼맨의 힘을 설명하려면 크립톤 행성은 지구보다 1000배나 중력이 세야 한다. 그러나 중력이 이 ... ...
인간은 타고난 장거리 선수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구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네이처’ 11월 18일자에 실렸다. 미국 유타대 생역학
전문가
인 데니스 브램블 교수와 하버드대 다니엘 리버만 교수는 인간과 동물을 대상으로 발로 돌리는 바퀴를 밀게 하고 이때 다양한 근육과 인대의 활동을 측정했다.그 결과 인체에서 장시간의 운동에 적합한 ... ...
나노분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혼자 연구하던 시대는 지났습니다. 혁신적인 결과가 나오려면 각 분야의
전문가
들이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그래서일까. 유기구조재료를 전공한 정 교수이지만 전자공학과 생물공학 관련 뉴스들은 빼놓지 않고 챙긴다. 이런 과정에서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다. 바이오칩 연구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