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열렸어요. 올 한 해 동안 열심히 탐사한 160명의 탐사대원들이 한자리에 모였지요. 지금
바로
수료식 현장으로 떠나 봐요. 한 해를 돌아보는 지사탐의 축제, 수료식!“지구사랑탐사대 5기 수료식을 시작합니다~!”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바쁘게 탐사한 지구사랑 탐사대원들이 한자리에 모였어요.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동물을 닮은 식물이 있어요.
바로
‘다람쥐꼬리’예요. 다람쥐꼬리의 생김새를 보면
바로
이름의 뜻을 이해할 수 있어요. 줄기에 뾰족뾰족 잎이 돋아나 있는데, 그 모양이 마치 다람쥐의 복슬복슬한 꼬리처럼 보이거든요. 다람쥐꼬리를 자세히 살펴보면 잎 사이에서 노란색 주머니가 하나씩 달린 걸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래의 드론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방향을 정교하게 바꿀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요.“드론은 활주로 없이 그 자리에서
바로
뜰 수 있어요. 또 헬리콥터와 달리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있어서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을 바꿀 수 있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구 모양의 ‘모션플랫폼 시뮬레이터’에도 탑승해 봤어요. 모션플랫폼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많아요. 이는 모두 프로그래머들 덕분이지요.그렇다면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누구일까요?
바로
영국의 수학자 ‘에이다 러브레이스’랍니다.에이다는 1815년 12월 10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어요. 당시 여성은 대학교에 입학할 수 없어서 에이다는 따로 수학을 공부했지요.19세기에도 수학은 매우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먹어도 생체 시계가 영향을 받지요. 그 중에서 우리 몸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건
바로
빛이에요. 가장 큰 문제는 ‘꿀잠’을 자기 어렵다는 거예요. 밤에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잠이 오게 만들어요. 그런데 멜라토닌이 분비되는 과정은 ‘청색광(블루 라이트)’이라는 빛에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울림까지도 모두 흡수되기 때문에 가만히 있으면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죠. 그 비밀은
바로
‘벽’에 있답니다. 무향실은 벽과 바닥, 천장이 ‘흡음 쐐기’라고 불리는 특이한 구조물로 둘러싸여 있어요. 흡음 쐐기는 부딪혀 반사되는 소리가 쐐기의 안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어 있지요. 반사가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2학년)폴란드에서 한국으로 놀러온 친구와 함께 평생 기억에 남을 추억을 만들었어요.
바로
헬로키티 생일 파티에 초대받아 함께 축하해 준 일이랍니다. 친구들과 함께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고 생일 케이크 촛불도 껐어요. 예쁜 케이크도 나누어 먹었지요. 헬로키티 모양의 달콤한 딸기 케이크가 참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생물은 우리나라에 처음이거든요. 외래 붉은불개미는 독특한 독성분을 갖고 있어요.
바로
‘솔레놉신’이에요. 이 독에 쏘이면 순간 뜨겁게 느껴지고, 가려움증이나 통증이 찾아오지요. 이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이 독에 여러 번 쏘였을 때예요. 독에 처음 쏘인 뒤에는 또 독이 들어올것을 대비해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작은 꽃 수십 개가 뭉치를 이루고 있어 별이 내려앉은 듯 보이기도 하지요. 그 주인공은
바로
‘꿩의비름’이에요. 꿩이 사는 산지나 들판에 주로 서식한다는 뜻에서 이름에 ‘꿩’이란 단어가 붙었지요. 8~10월에 산을 찾으면 발견할 수 있답니다. 꿩의비름을 만나면 꽃을 한번 만져 보세요. 꽃이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붉은불개미처럼 말이지요. 그런데 외래 침입종을 만드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답니다.
바로
지구온난화예요. 미국농업연구소의 마이클 코르츠킨 박사는 2004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온난화로 외래 붉은불개미의 서식지가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 추웠던 북쪽 지역이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