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량
우월
탁월
상위
유망
유명
저명
뉴스
"
우수
"(으)로 총 3,869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심으로 들어온 첫 과학축제 오늘 저녁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낮에는 어린이용 SF 영화가 서울극장에서 상영되며 영풍문고 종로본점에서 4월 한 달간 ‘
우수
과학도서 특별전’을 진행한다. 세운상가에서는 과학교구 전시와 과학 유튜버 긱블의 콘텐츠 전시회가 열린다. 모든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은 무료로 참여 가능하다. 단 강연과 공연, SF 영화제 등 일부 ... ...
日 첨단 물성연구장비, 국내 이용 쉬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9
강상관계물질연구단장은 “ISSP가 보유한 다양한 장비와 기술력, 강상관계물질연구단의
우수
한 인력과 전문성이 만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동연구실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력과 연구문화를 지닌 공간으로 가꾸겠다”고 말했다. 강상관계물질연구단은 전자 사이에 강한 ... ...
공공 분야 무인이동체 개발사업 공모 개시…총 418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이동체와 관련 SW 플랫폼 개발을 지원한다. 개발에 성공한 무인 이동체에 대해 조달청 ‘
우수
조달물품’ 신청자격과 심사특례를 부여해 공공조달 연계를 돕는다. 이번 공모에서 무인 이동체 분야는 총 7개 사업에 356억원이 지원된다. 우선 ‘공공임무용 무인이동체 통합기술관리 및 시험평가체계 ... ...
[의학게시판] '건강한 심장으로 100세 살기' 시민강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서울시보라매병원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폐렴 적정성 평가에서 최
우수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 이로써 서울시 및 전국 지자체 운영 병원 중 유일하게 폐질환 관련 모든 적정성 평가에서 1등급을 받았다. 적정성 평가는 전국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직접적으로 ... ...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문한섭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팀이 원자 매질을 이용해 안정성이 높고 품질 또한
우수
한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양자란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최소 에너지 단위다. 양자얽힘은 양자역학에서 두 양자계가 공간적으로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 현상을 ... ...
KAIST 빛낸 연구성과에 신개념 양자컴퓨터·투명 터치센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교수는 1개 팀으로 융합연구상을 받는다. KAIST는 “23일 열리는 행사장에서는
우수
연구성과 10선이 동영상을 통해 시연, 소개될 예정”이라며 “시상식 후에는 연구자들 간 교류시간도 준비돼 있어 교수와 학생 등 KAIST 구성원은 물론 시민들도 누구든지 참여해 자유롭게 대화를 나눌 수 있다”고 ... ...
서울 도심에서 과학 즐긴다…2019 대한민국 과학축제 19일 저녁부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느껴졌던 과학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과학기술인의
우수
한 연구성과와 과학을 문화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했으니 방과 후, 퇴근 후 또는 주말 나들이로 많이 오셔서 과학축제를 즐기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과학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은 누구나 ... ...
R&D 예타 소요기간 13.5개월서 6개월로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위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 기업부설연구소의 역량 확대를 위한 ‘
우수
기업연구소 육성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세 사업에 총 1조5414억원이 투자된다. 과기정통부는 ‘연구개발 예타로(http://rndyeta.kr)’를 개설했다. 해당 홈페이지를 통해 모든 연구개발 예타 결과와 조사 중인 ... ...
이스라엘연구팀, '3D프린팅' 인공심장 공개…"혈관까지 첫 성공"
연합뉴스
l
2019.04.16
하고 인체에 이식하는 문제도 남아있다는 것이다. 드비르 교수는 "아마 10년 후 세계의
우수
한 병원들에는 '장기 프린터들'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피해가 올 수 있는 만큼 남북협력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윤 교수는 “우리
우수
한 기술을 제공해 자료를 공유하며 분석된 데이터를 통한 시나리오로 예측해야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북한과의 연구협력이 유엔 대북제재에 막혀 진척이 없다는 점이다. 화산을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