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6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포식자의 오줌 냄새에 공포감을 느끼는 건 타고난
반응
이지만 천적 냄새에 대한
반응
이 다 그런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북미의 피라미와 가시고기는 생활권이 겹친다. 둘 다 강꼬치고기의 먹잇감이다. 그런데 강꼬치고기에 쫓긴 경험이 있는 녀석들은 물에서 강꼬치고기 냄새만 맡아도 얼른 숨을 곳을 ... ...
코로나19 DNA 백신 인도서 첫 긴급사용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백신은 세포핵까지 도달하도록 설계돼야 하기 때문이다. 초기 임상과정에서 강력한 면역
반응
을 유도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지두스 카딜라가 개발한 ZyCoV-D는 근육 조직이 아닌 피부 아래 피하 조직에 DNA 백신을 3회에 걸쳐 접종하는 방식이다. 피하 조직에는 면역세포가 풍부하기 ... ...
발전소서 버려지는 열로 '그린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3
화학
반응
에 필요한 열에너지의 온도를 1000도 미만으로 낮추는 새로운 촉매물질과
반응
메커니즘을 연구중이다. 해외에서는 열에너지의 온도를 낮추기보다 1300~1500도 고온의 열에너지를 내는 열원을 확보하는 방향의 연구를 진행중이다. 태양열을 집적시켜 고온의 열에너지를 내는 연구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성층권에 수증기 쏟아붓는 거대 뇌우
동아사이언스
l
2021.09.12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0일 구름 위로 솟아오른 뇌우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뭉게뭉게 솟아오른 구름 속으로 번개가 번쩍이고 있다. 맨 윗부분 ... 영향을 수치화할 수 있게 됐다”며 “이 메커니즘이 변화하는 기후 조건에 어떻게
반응
할지도 예측해야 한다”고 말했다 ... ...
"구제역 확산 막는 캡슐 개발의 비결은 여성 창업자가 겪는 어려움 이겨낸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가령 유방염에 걸린 소는 하얀 빛깔이 아닌 노란 빛깔의 우유를 생산한다. 염증
반응
으로 체세포 수가 늘어나면서 우유도 영향을 받는 것이다. 김 대표는 “유방염에 걸린 소는 체온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이오 캡슐이 이를 빨리 감지해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 ...
코로나19 mRNA 백신 만든 과학자들 ‘과학계 오스카상’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990년대 mRNA 백신 기술 연구를 시작했지만 상용화가 불가능할 것이라는 과학계의 냉담한
반응
에 연구비 지원이 끊기는 등 고충을 겪었다. 카리코 박사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상금의 일부를 암 치료 등을 위한 미래 mRNA 백신과 치료제 연구에 사용하기를 희망한다”며 “mRNA 백신 ... ...
몸 속 돌아다니며 노폐물만 삼키는 '팩맨' 캡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원리다. 반대로 빛이 없으면 물질은 그대로 캡슐안에 갇힌다. 필요에 따라 화학
반응
을 반대로 유도하면 캡슐 안 물질은 외부로 빠져나간다. 연구팀은 "캡슐이 흡수한 물질은 수개월간 보관이 가능하다"며 "캡슐 구멍의 형태에 따라 원하는 물질만 흡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물에 ... ...
[과기원은 지금] UNIST,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고성능 탄소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고성능 탄소 촉매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지금까지 개발된 탄소계 촉매 가운데 활성과
반응
효율이 가장 좋다. 주상훈 UNIST 화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고성능 나노다공성 탄소 촉매'를 이용하면 기존 복잡한 과정을 거치고 고가의 팔라듐 촉매를 쓰는 공법과 달리 간단하고 저렴하며 오염물질을 ... ...
방역당국 "항체 형성률만으로는 백신 효과 판단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1.09.09
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일부는 항체형성률이 낮을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백신 접종률보다 항체 형성률에 더 신경써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 ... 며 "접종 완료 후 5개월이 지나는 시점에는 중증면역저하자를 중심으로 추가 접종해 면역
반응
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
2021.09.09
2008년에는 현재 mRNA 백신의 핵심기술이 된 수도우리딘(pseudouridine)’을 이용해 세포내 면역
반응
을 일으키지 않는 전달체를 개발하는데 성공했지만, 동료와 생명공학기업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와이스만 교수와 설립한 회사는 큰 투자자를 구하지 못한채 고군분투했고, 2012년 항바이러스성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