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뉴스
"
물
"(으)로 총 5,26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産 첫 와인은 화이트 와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화성 게일 분화구내 샤프산 기슭 모습(큐리오시티가 2012년 100mm 마스트카메라로 촬영). NASA 미국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와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각 ... 관련 모든 가능성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이 끝나면 다른 식
물
에 대해서도 연구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스위스 연구진, 전염병 막을 가장 과학적인 손씻기 방법 내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교수는 "손을 씻는 데 걸리는 시간보다 마찰을 이용한 기술이 훨씬 중요하다"며 "
물
과 비누를 이용해 손을 씻을 때도 3단계로 닦으면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 ...
“휴대전화에 배터리 끼우듯 건
물
에도 배터리 넣을 수 있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있다. 김 대표는 내년 1월 9일 제품을 세상에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왜 1월 9일이냐고
물
으니 “2007년 1월 9일이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처음 공개한 날이라서”라는 답이 돌아왔다. 그는 “배터리계의 아이폰을 꿈꾼다”며 “이미 성능과 사용자 편의성은 다른 업체가 따라올 수 없는 초격차를 ... ...
물
위를 걷는 사람?
팝뉴스
l
2019.04.14
사진 셔터도 정확한 순간에 눌러야 하니 쉽게 찍을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사람이
물
위를 걷는 마법 같은 상황을 포착한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 ...
[애니멀리포트] 안절부절 못하는 고양이, 때가 왔다
2019.04.13
중성화 수술 후엔 반려동
물
이 수술 부위를 핥지 못하도록 넥카라를 해 준다 “이제 막 5개월 된 암컷 고양이가 ‘애옹, 애옹’ 울면서 안절부절 못하고 돌아다녀요. 평소 ... 운영 중이다. 서울시수의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TV 동
물
농장’ 프로그램의 자문을 맡고 있다. ...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과학동아
l
2019.04.13
데 접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송 부장은 “플라스마가 지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유전
물
질의 양과 형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관건”이라며 “이를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식이 연구돼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4월호 [이달의 PICK] 포도알 먹지 마세요, 전자레인지에 돌려 ... ...
충격과 공포의 냉장고
팝뉴스
l
2019.04.12
세상에 또 있을까? 한 밤중이고 주방에 전등이 꺼진 상태라고 하자. 자다가 목이 말라
물
을 마시려고 냉장고 문을 연다면 생명이 위험할 수도 있다. 극단적인 공포와 충격을 경험할 것이기 때문이다. ‘냉장고에 누워 있는 여자 얼굴’이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사진 공개자의 충고가 ... ...
‘안정성 세계 최고’ 수소 생산용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촉매가 나온 만큼 관련 기술도 한층 발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건태 교수는 “
물
전기분해 촉매를 상용화하려면 합성이 간단하고 대량화가 가능해야 하며, 재현성이 높고 비용이 낮으면서 성능과 안전성도 높아야 한다”며 “새 촉매는 이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자주 투여받는 환자 등이다. 바이러스가
물
이나 음식을 통해 전염되는 만큼, 음식
물
을 다루는 요식업체 종사자도 위험군에 속한다. ⑧ B형간염 백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B형간염 바이러스를 예방하려면 3번에 걸쳐 주사를 맞아야 한다. 대한감염학회에서는 B형간염 백신을 맞았는지 확실하지 ... ...
태양광으로 무공해 수소 만드는 기술 효율 97%까지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1㎠ 면적에서 시간당 3㎎의 수소 기체가 나옴을 확인했다. 서 교수는 “저가의 니켈산화
물
을 전하 분리 보호막으로 고효율 나노구조 광전극에 적용했고 최고 수준의 광전환 효율로 수소를 생산했다”며 “추가적으로 장기 광화학반응 안정성을 개선해 실용화를 목표로 연구를 지속할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