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푸름 그 이상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볼 수 없는 이 조그마한 부분이 빛을 이용해 물을 분해한다니 놀라운 자연의
힘
이다. 이렇게 분해된 물은 수소이온과 전자를 생산하고 남은 찌꺼기(?)로 산소를 만들어낸다. 즉, 산소는 광합성의 목적이 아니다. 광합성에서 더 중요한 것은 수소이온과 전자다. 하지만 그 덕분에 지구상 대부분의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물을 가뒀다가 내뿜는
힘
으로 앞으로 쭉 나아가는 오징어는 마치 우주로 솟구치는 로켓처럼 빠르게 헤엄쳐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로 한 번에 먼 거리를 갈 수 있답니다. 그런데 오징어가 위급한 상황에서는 물이 아닌 공기 중에서 날기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캐나다 달후시대학교 ... ...
춘곤증 극복~! 봄나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바로 파릇파릇 싱싱한 봄나물이야.킁킁~. 어디선가 향긋한 냄새가 나지 않니? 먹으면
힘
이 불끈! 춘곤증 해결사봄엔 자주 피곤하고 졸려. 때로 입맛이 없거나 소화가 안 되기도 해. 심지어 어지럽기도 하지. 이런 현상을 ‘춘곤증’이라고 해. 춘곤증이 왜 생기는지는 아직 확실히 알지는 못해. ... ...
수학으로 핑퐁! 코리아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방법.둘 타구의 크기는 정육면체로 정한다!탁구는 반응 속도가 빠른 운동이기 때문에
힘
조절이 필수다. 공을 주고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1초 정도로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타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타구의 크기와 몸의 회전 각도를 결정해야 한다. 이 때는 팔꿈치 길이와 같은 ... ...
[정보] 부등식, 방향을 정하면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못했어. 게다가 9개 반지의 모양과 크기가 모두 같아 눈으로는 구분할 수 없다네. 내
힘
으로는 도저히 모조품을 찾아낼 수 없어, 자네에게 도움을 청하네. 제발 도와 주게!수동이는 양팔 저울을 3번 사용하여 모조품 반지를 찾았다고 합니다. 수동이는 어떤 방법으로 이 반지를 찾아낸 걸까요?풀이 이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큰 곳으로 물질이 모이다 보면 끌어당기는
힘
은 더욱 커진다. 이 중에서 물질이 팽창하는
힘
보다 응집력이 더 큰 곳에서 드디어 은하가 생긴다. 이 우주의 진화 방정식을 디지털 공간에 대입하고 컴퓨터로 계산하면, 놀랍게도 컴퓨터 안에서 은하가 만들어지고 별이 태어난다.왼쪽 그림은 일본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르네 데카르트(1596~1650) - 프랑스의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동시에 물리학자다. ‘나는 생각한다,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담은 ‘방법서설’을 1637년에 썼다. ‘ ... 지금 당신의 생각을 헷갈리거나 곤란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과학자들처럼 잠깐 악마의
힘
을 빌려보는 건 어떨까 ... ...
저절로 울리는 드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파동이 커서 크게 치는 거라고 보는 편이 더 맞겠다. 단단한 유리도 깰 수 있는 소리의
힘
으로 단순히 유리만 깨기엔 무척 아쉽다는 생각이 든다. 그럼 이 소리로 우리는 무슨 일을 할 수 있는가? 실제로 병원에서는 담석에 걸린 사람의 담석을 없앨 때, 높은 주파수의 음파를 이용해 담석을 깬다고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생겨나기 이전에 동해에 해양 지각이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나왔다. 대륙에 작용하는
힘
때문에 정단층이 생기고 이를 따라 지반이 내려앉아 열곡이 형성됐다. 열곡 주위가 올라오면서 대륙 지각이 분리되고 마그마가 솟아나 해양지각이 생기고 바다가 형성됐다는 설명이다. 우리나라 주변부에 이런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블랙홀 바로 옆이 아니면 아무리 블랙홀이라고 한들 혼자만의
힘
으로는 주변의 물질을 자기에게 끌어들일 수가 없다. 따라서 블랙홀 주변으로 물질이 몰릴 수 있게 하는 어떤 외부적인 원인이 있어야 하는데 유력한 것이 은하와 은하사이의 합병 현상이다. 은하와 은하는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