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입던 속옷으로, 허리 부분에 바람이 통하는 구멍이 뚫려있어서 꼭 문에 창살이 쳐진 모양이에요. 낭비 없이 구멍을 만들려면 원단의 가운데를 요철 모양으로 자릅니다. 그러면 왼쪽 부분에서 움푹 들어간 곳이 오른쪽에서는 툭 튀어나오는 곳이 되고, 두 조각을 이어 붙이면 구멍이 뚫린 살창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류 종족을 보존하겠다는 사명감이다. 사프라넥은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사명감을 가진 최후의 인류가 돼 벙커로 들어설지, 아니면 남은 인생을 행복하게 보낼 것인지. 당신이 14분의 1로 줄어들었다면 인류를 위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상에서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고 말했다. 활공 훈련에서는 스키가 V형으로 벌어진 각도와 스키 뒷부분 사이의 간격을 바꿔가며 최적의 양항비를 찾는 훈련을 반복했다. 김현기 선수는 약 20도로 각도를 벌리고 스키 뒷부분 사이의 간격이 스키 길이의 약 5%가 됐을 때 양항비가 1.33 정도로 가장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완벽하게 얼렸다가 해동시킨 첫 연구 사례도 나왔다. 미국 브레인프리저베이션재단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뇌는 냉동인간 기술의 난제로 남아있는 만큼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 ...
- [가즈아! 평창] 2018 동계올림픽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뿌려 얼음 표면에 미세한 얼음알갱이인 페블을 만들었기 때문이야. 이 페블은 스톤의 진행을 방해해. 그래서 스윕, 일명 빗자루질을 하지. 스위퍼라 하는 두 명의 선수가 빗자루처럼 생긴 브룸으로 페블을 닦아 얼음 표면을 미끄럽게 만들어 스톤의 속도와 방향을 조절해. 매우 미세한 차이에도 ... ...
- [수학공작실] 정다면체 장식공예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들 수 있는 건 한 면이 정삼각형인 정다면체다. 그렇다면 정삼각형 8개로 이뤄진 정팔면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개의 유닛이 필요할까? 정삼각형 밑면이 나오려면 직각이등변삼각형 3개가 필요하다. 그리고 유닛 하나당 직각이등변삼각형 2개가 나오기 때문에 8×3÷2=12, 총 12개의 유닛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치면 야구공의 속도가 변한다. 이처럼 힘이 작용해 물체의 운동 상태가 변할 때, 가해진 충격의 양을 OOO이라고 한다. (야구왕 허슬기 참조)❹ 기름에 갠 물감으로 그리는 그림. 반 고흐를 포함한 서양화가들이 많이 그렸다. (기획 ‘반 고흐’ 참조 ... ...
- [과학뉴스] 그래핀과 포스포린 장점만 모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디락 입자가 발생했다. 전류 흐름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수 있는데다가 전하 이동도 빨라진 셈이다. 김 교수는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을 통해 고성능 반도체 소자 개발에 한걸음 다가갔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 2017년 11월 29일자에 실렸다 .doi:10.1103/PhysRevLett.119.22680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중 선체 등이 좋은 사례다. 뿐만 아니라 레오나르도는 물리학과 기계 장치의 숨겨진 원리에도 관심이 깊었다. 기계를 통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그는 볼 베어링 시스템, 코일 스프링 같은 오늘날 기계 장치에도 빠지지 않고 쓰이는 유명한 동력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봇을 개발하기도 했다. 다리 한 개에 달린 발 두 개, 물건을 집을 수 있는 손 두 개를 가진 이 로봇의 보폭은 고작 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다. 외부의 조작이나 별도의 에너지 없이 DNA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하는 원리를 적용해 혼자 걸어 다닐 수 있다. 비록실험실 수준이지만, 원하는 물질을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