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혈관이 자라는 일을 막는다. 자물쇠를 열쇠로 잠그듯 표적분자의 기능을 잠가버리는
셈
이다.동국대 의생명공학부 김소연 교수는 “매쿠진이 개발된 뒤 여러 나라에서 RNA 앱타머를 이용한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며 “시중에서 RNA 앱타머 치료제를 쉽게 구입할 날도 머지않았다”고 밝혔다.RNA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홀 효과는 좀 더 빠른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도전의식을 자극하고 있는
셈
이다.유효질량전자가 도체 안에서 움직일 때 느끼는 질량증착금속이나 비금속의 작은 조각을 진공 속에서 가열해 증기로 만들어 물체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홍병희 교수는 1998년 포항공대 화학과를 졸업한 뒤 ... ...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우리는 한 번 본 드라마 내용을 잘 잊지 않는다. 지난해 가을 MBC TV에서 방영돼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를 잠시 떠올려보자. 드라마를 빠트리지 않고 시청한 독자라면 ... 연결 지은 ‘베토벤 바이러스’는 생명현상의 핵심 주제를 명쾌하게 표현하고 있는
셈
이다 ... ...
한반도 가뭄의 숨겨진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호우를 발생시킨다”고 말했다. 사실상 에어로졸은 모든 기상 현상에 참여하고 있는
셈
이다.에어로졸은 IPCC 보고서에서 수많은 메커니즘에 관여하면서도 그 영향력이 정량적으로 규명되지 못해 ‘불확실성이 많은 환경인자’로 분류돼 있다. 조만간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에어로졸의 정체가 ... ...
내 PC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삭제하는 것이 좋다. 도둑이 들더라도 가져갈 수 있는 세간과 귀금속의 양을 최소화하는
셈
이다.또 비밀번호는 일정한 기간에 한 번씩 변경해야 한다. 하지만 수많은 비밀번호를 모두 일일이 기억해 변경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일회용 비밀번호’(OTP·one time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뿐임을 깨닫는다. 포장만 요란했지 막상 풀어보면 안에 사탕 한 알만 달랑 들어 있는
셈
이다.나비는 곡예비행사사실 나비의 비행은 단순히 현란하다고 표현할 수 있는 수준 이상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동물학과 애드리언 토머스 교수팀은 지난 200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나비의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합종연횡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여전히 치열하게 전개되는 현재진행형인
셈
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 ...
차세대 여성 공학인의 산실 WIE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18%, 여교수 비율이 5%에도 못 미치기 때문입니다. 공학 분야는 양성 평등의 사각지대인
셈
이죠.”현재 공대 교육이 대부분 남성 위주이며 몸으로 가르치는 도제식이란 특성은 여학생에게 현실적 장벽이다. 심지어 일부 공대 건물에는 여학생 화장실도 없다. 또 도제식 문화가 널리 퍼져 있는 상황에서 ... ...
사촌이 땅 사면 정말 배 아픈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보인다고 생각하는 도덕성이나 윤리의식도 사소한 환경변화에 크게 씁향을 받는
셈
이다. 연구자들은 지난해 12 월 8일자 ‘사이언스 ’에 실린 논문에서 “단지 낙서가 있을 뿐인데도 쓰레기를 버리거나 물건을 훔치는 사람의 비율이 2배 이상 늘어났다 ”며 “이 결과는 정책입안자나 경찰들에게 ... ...
[신경과학]남녀는 아름다움 느끼는 방식도 다르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반면, 남성은 오른쪽 두정엽만 활발했다. 남녀는 아름다움을 느끼는 과정이 다른
셈
이다.왼쪽 두정엽은 범주적 공간 관계, 즉 대상들의 대략적인 위치와 상대적인 관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한다. 반면 오른쪽 두정엽은 좌표적 공간 관계, 즉 특정 대상의 거리나 방향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얻어내는 데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