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왼손잡이 아동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무엇을 가르칠 때 "자주 사용하는 손이 오른손이다" 혹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물체
를 이동시키며..."식으로 예를 드는 것은 절대금물이다. 대개의 현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든, 그 역의 경우이든 결과는 같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 따라서 학교는 이들을 위한 배려를 해야 하며, 선생님도 ... ...
바람기둥을 좇는 과학자들 이야기 트위스터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안되지만 중심 부근에서는 풍속이 1백 m/초 이상 되는 일도 있고 중심진로에 있는 지상의
물체
를 맹렬한 기세로 감아올리기 때문에 파괴력은 태풍보다 더 세다. 우리가 ‘회오리 바람’이라고 부르는 것은 저기압 핵심 주위에서 급하게 회전하는 공기 기둥으로, 토네이도와 유사하지만 규모가 훨씬 ... ...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반복되고 있는 과학적 오류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움직이지 않고 걸려있다면(사다리가 매우 튼튼해야겠죠?), 낙하하지 않을테니 그 안의
물체
들도 제 무게를 느낄 것이다. 그리고 만일 당신이 사다리에서 뛰어 내린다면 무중력상태를 경험할 것이다(적어도 땅바닥에 떨어질 때까지는!). 그런데 만약 궤도 비행하는 우주선이 정말 추락한다면 왜 ... ...
스타트렉의 순간이동장치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수반되는 양자역학적인 문제를 염두에 두고 있었다. 그들은 뛰어난 순발력을 발휘해
물체
의 양자적 해상도를 높여주는 ‘하이젠베르크 보완장치’라는 기계를 도입했다. 그러나 이 장치의 원리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무한한 인간의 가능성이렇듯 현재의 과학으로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모든
물체
는 그것을 돌리려는 힘에 저항하게 마련. 이것을 ‘회전관성’이라고 하는데,
물체
의 질량이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증가한다. 짧은 막대가 회전할 때보다 긴 막대가 회전할 때 더 큰 원을 그리는 것도 회전관성 때문이다. 물론 더 큰 원을 그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에너지가 ... ...
히틀러 벙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물리량의 분포상태에 따라서 정해지는 물리적 효과 예를 들어
물체
가 회전할 때 관성은
물체
의 질량뿐 아니라 질량의 분포상태 따라 결정되므로 관성모멘트라는 용어를 사용한다화석에너지라고도 한다 지각에 파묻힌 동·식물의 유해가 오랜 세월에 걸쳐 화석화해 만들어진 탄화수소 화합물을 ... ...
1. 뜨거운 물이 빨리 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사는 베드윈족은 검은 천으로 된 헐렁한 옷을 입고 산다. 햇빛을 받으면 검은
물체
가 흰
물체
보다 더 뜨거워진다는 것을 모르기 때문일까? 아니면 흰 천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일까?베드윈족은 검은 옷을 입어 땀이 빨리 마르게 한다.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빼앗아가면 더 상쾌하게 느껴지기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우주는 ‘질량보존의 법칙’이라는 절대 복종해야할 원리에 지배받고 있다. 질량을 가진
물체
는 어떠한 과정을 거치던 간에 반응 전과 후의 질량에는 변화가 없어야 한다. 질량은 에너지와 등가이므로 만약 에너지의 형태로 많은 질량을 저장한다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아인슈타인의 ... ...
Ⅲ. 전자발견드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영원한 주창자로 남아 있다. J.J.톰슨의 학문적 업적1881년●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물체
가 전하를 띨 때 질량의 변화를 추론하여 전자기의 질량 개념 제시1884년●왕립학회 회원이 됨1894년●광속도에 비해 음극선의 속도가 아주 느린 것을 발견1897년●전자 발견.1899년●전자의 전하량 측정. 전자와 ... ...
Ⅰ. 전자가 이룩한 4대 혁명 : 3. 세계최고 수준의 전자공장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두종류가 있다. 투과형은 전자를
물체
에 투과시켜 상을 보는 반면, 주사형은 전자빔이
물체
에 주사된 후 발생하는 2차 전자를 이용한다. 결국 주사형 전자현미경은 수십만배, 투과형 전자현미경은 수백만배의 미시세계를 들여다 볼 수 있게 했다. 1981년에는 양자역학을 이용한 주사형터널링현미경 ... ...
이전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