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크기를 비교한 방법은 무엇이 었을까? 칸토어는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를 자연수와 하나씩 짝지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했다. 그 다음, 이 목록에 없는 실수를 찾을 수 있는지 실험했다. 먼저 왼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을 배정받은 실수의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릿수를 찾아 ... ...
- 자동완성으로 보는 너에게 수학이란?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것 같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임희석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는 “수학은 모든 과학 분야와 깊이 관련이 있다”며, “시험이나 입시를 위한 공부에서 벗어나 스스로 생각하는 공부를 해야 한다”고 실생활에서 수학을 찾아 공부하라고 조언했어요. 수학에 대한 세계인의 인식을 알아보며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만족했어. 다음으로 그림➋처럼 선분 안에 점을 찍고 두 사람을 번갈아 배정하자. 모든 점마다 동생 혹은오빠에게 어떤 방이 좋은지 물어보고 원하는 방 색깔로 칠해. 슈페르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색깔을 양 끝점으로 하는 선분은 적어도 하나 있어. 같은 방법으로 점을 늘려가면 그런 선분이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전략적으로 먹어라! 달콤한 게임, 촘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부분순서집합입니다. 간단하게 2×3 촘프를 부분순서집합으로 바꿔 보도록 하죠. 우선 모든 조각을 좌표로 나타낸 뒤 한데 모아 집합 {(1, 1), (1, 2), (2, 1), (2, 2), (3, 1), (3, 2)}를 만듭니다. 이 집합에서는 좌표의 가로와 세로가 모두 크거나 같은 좌표를 ‘크다’고 할 거예요. 따라서 (2, 2)는 (2, 1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또 과당을 변형시켜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해당과정에 투입시키는 효소(KHK) 역시 모든 장기에 풍부했다. 이 차이 덕분에 벌거숭이두더지쥐는 뇌세포가 혈액 속 과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산소가 부족하면 과당을 에너지원으로 써서 버티는 것이다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회 졸업생이 될 4학년 학부생 3명을 만나 DGIST의 강점을 들어봤다. DGIST는 국내 최초로 모든 학생이 전자교재로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개발한 전자교재만 40여종이다. 올해 8월에는 교보문고에서 수학 분야 전자교재 1종을 출판해(9월 중 1종 추가 출판 예정) 누구나 사볼 수 있게 했다.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계관을 하루아침에 송두리째 뒤바꿔놓은 책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인간사의 모든 것을 유전자로 설명할 수 있으리라는 호들갑을 떨 수 있는 구실을 제공한 구닥다리 책에 지나지 않는다. 훗날 도킨스가 비평가들은 책 제목만 읽는 경향이 있다고 투덜댄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에 대해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살고 있기 때문에 보통 사람이 현실의 전체 숲을 보기란 쉽지 않다”며 “빅 히스토리에 모든 국가를 다루는 건 쉽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실수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세부 내용에 집착하면 인류사 전체를 보지 못한다는 얘기다. 그는 역사를 거시적으로 보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수 차례 강조했다 ... ...
- [수학뉴스] 상금 10억 원 걸린 체스 문제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어떤 퀸이 다른 퀸을 공격하지 못하게 막으려면 모든 퀸이 서로 다른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에 있어야 하지요. 교수팀이 선보인 문제는 N개 중 일부가 이미 자리를 잡고있을 때, 나머지를 올려놓는 겁니다. 문제는 반복되는 규칙이 없어 슈퍼컴퓨터로 일일이 퀸의 ... ...
- 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N이 0과 1 사이에 있는 모든 실수의 개수다. 결론적으로 칸토어 집합의 원소,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 실수 전체는 모두 개수가 2N으로 같다. 칸토어 집합은 여전히 실수만큼 많은 원소를 갖고 있고, 원소가 제 아무리 띄엄띄엄 있다고 해도 결국 셀 수 없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이전2612622632642652662672682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