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뉴스
"
제
"(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성과공유회'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1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는 혁신성장동력 분야 핵심기술 개발을 추 ... 위원장은 15일 새울 원자력안전협의회 의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지역주민의 의견을 들었다. -원안위
제
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오를 수 있는 반면 지근이 3분의 2인 사람은 먼 거리를 걷거나 뛸 수 있다. 위키피디아
제
공 예를 들어 침팬지의 근육은 3분의 2가 속근(fast muscle)이고 3분의 1이 지근(slow muscle)인 반면 사람은 그 반대다. 따라서 침지의 근육은 순간의 힘을 내는 데 뛰어나고 사람의 근육은 지구력이 필요한 활동에 ... ...
논문 무료 개방 운동 ‘플랜S’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19.01.14
자료를 사용해 연구에 활용한다. 학술정보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7년 한국의 4년
제
대학 도서관의 해외전자학술지 구입비는 1017억5400만 원으로 국내 전자학술지 구입비(119억300만 원)의 약 8.5배에 이른다. 더구나 최근 5년새 해외전자학술지의 구입비는 매해 3~5%씩 꾸준히 상승했다. 서 교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열대 우림의 가뭄 막는 숨은 공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3
가뭄이 열대 우림에 미치는 악영향을 완충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국
제
학술지 사이언스 11일자에 발표했다. 분해된 잎 덕분에 토양에 수분이 많아지고 영양분의 균형을 유지해 식물이 잘 자라게 하는 등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복원력이 생긴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2015~2016년 엘니뇨 ... ...
성가신 모기 ‘산아
제
한’으로 퇴치
동아사이언스
l
2019.01.11
이용해 정밀도를 높였다. 악바리 교수는 “유전자 드라이브와 달리 새롭고 안전하며 통
제
가능하다”며 “이 기술을 모기 외에 농작물에 피해를 입히는 다양한 해충에 두루 쓰도록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 ...
[과학게시판] 가상통화 취급업소 보안 수준 점검결과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게티이미지뱅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가상통화 취급업소 21곳을 대상으로 정보보호 수준을 점검한 결과, 전체 ... 말씀 들으면서 소통도 하고 유능한 일꾼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첫 지역 방문으로
제
일 먼저 오늘 대전으로 간다. 자주 뵙겠다”고 밝혔다 ... ...
미세플라스틱 몸속 들어오면 세포 꼼짝 못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제
브라피시 배아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영양을 공급하는 난황을 비롯해 척수 등 주요 신경과 기관에 퍼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심도 있는 연구와 실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
제
학술지 ‘나노스케일’ 지난해 12월 1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우주개발 중심축 국가에서 민간주도로 바꾼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1.09
“알맹이 빠진 논의” 비판도 정부가 우주산업 생태계를 민간이 주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우주조정위원회’를 신 ... 시장을 창출한다는 복안도 마련했다. 범부처 협력을 통해 한국의 실리와 위상을
제
고하는 일관된 국가 우주협력 체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 ...
손발톱무좀, 혈관이 망가지는 신호일 수도
연합뉴스
l
2019.01.07
잘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확인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
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근호에 발표됐다. /연합뉴스 ... ...
[뉴스룸]이
제
중국 과학이 ‘초일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됐다. 최근 1, 2년 사이에 학술지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게재한 논문에서 실
제
로 연구를 주도한
제
1저자가 중국인 학생인 경우가 부쩍 늘었다. 현재는 미국 대학에 소속돼 미국의 성과로 잡히지만, 몇 년 뒤 이들이 중국에서 활약하며 펼칠 ‘차이나 사이언스’는 세계 과학계를 주도할 게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