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뉴스
"
작동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을 치는 시 13] “적막으로 一家를 이룬다”
2016.04.30
된 시 한 편이 우리의 허한 마음을 칩니다. 그 무용한 힘에 간혹 우리 마음은 속절없이
작동
합니다. 그런 아이러니한 의미의 생명을 믿어, 시인이 소개하는 시 한 편과 그 시 속의 이야기들을 준비했습니다. 당분간 매주 연재합니다. 마음 놓고 독자인 당신의 마음의 행로를 뒤따라가 보시기 바랍니다 ... ...
논란의 티맥스OS, 제가 한 번 써봤습니다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6.04.30
투게이트의 설정 화면. 크롬 브라우저와 매우 유사하다. 사실 브라우저만 제대로
작동
해도 티맥스OS는 시장에서 기회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망분리된 공공기관 인터넷 전용 PC 시장을 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무원들은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전용망에서 업무를 보는데, 인터넷을 ... ...
두번째 ‘지카’에도 스마트 검역 시스템
작동
안해
동아일보
l
2016.04.29
B 씨(43)가 병원을 방문했을 때도 병원 측이 시스템을 업데이트하지 않아 스마트 검역망이
작동
하지 않았던 점에 비춰 보면 보건당국의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대처가 나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 씨가 지카 바이러스 감염 의심 증세로 병원을 찾은 지 나흘 만에 검사 결과가 나온 ... ...
‘연구하는 총장’ 한양대 이영무 교수 ‘네이처’에 논문 게재
2016.04.28
구멍 크기가 나노 수준인 탄화수소 분리막을 개발했다. 고온에도 추가 장치 없이
작동
하고, 가격도 불소계 분리막의 10분의 1 수준이다. 이 총장은 분리막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석학이다. 관련 특허를 120여 건 보유하고 있으며 논문의 피인용 횟수도 1만4000건에 이를 정도로 영향력이 높다. ... ...
한국인 두번째 지카 환자 발생
동아일보
l
2016.04.28
다녀온 환자가 내원하면 이를 의료진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스마트검역시스템(DUR)이
작동
하지 않았다. 당국은 앞으로 산발적 발생국과 동남아 국가 전반에 스마트검역시스템을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질본 관계자는 “K 씨는 현재 집에 머물고 있는데 지카 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확인된 ... ...
‘발틱해 우주선 ’ 다시 주목 받아
팝뉴스
l
2016.04.27
등 전자기기가
작동
을 멈췄다고 말한다. 물체로부터 200미터 정도 벗어나면 모든 기기의
작동
은 정상화되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아직도 발틱해 원형 물체의 정체는 밝혀지지 않았다. 언론과 네티즌들로부터 주목받는 아래 이미지는 ‘발틱해의 로스웰’로 불리는 이 ... ...
벌집 모양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주경 첫 공개
2016.04.27
된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영하 233도(절대온도 40K)에 이르는 극저온에서도 원활히
작동
하도록 설계됐다. 마지막으로 주 거울과 보조 거울이 통신 장비와 비행 제어 시스템이 탑재된 본체와 태양 가리개 위에 장착 되면 발사 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다. 허블 우주망원경은 610㎞ ... ...
빠르고 안전하게… KT ‘기업용 LTE’ 첫선
동아일보
l
2016.04.27
전용 내부망과 연결됐고, 카메라나 카카오톡 등 보안을 위해 막아놓은 일부 앱은 눌러도
작동
되지 않았다. 기업 전용 LTE를 켜놓은 동안 자신의 스마트폰 데이터 대신 KT의 기업용 데이터가 차감됐다. KT는 26일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KT스퀘어에서 기업 전용 LTE 서비스를 시연하며 “국내 최초로 이 ... ...
사람 피부 모방한 압력센서 개발
2016.04.26
한 교수는 “혈압 등 신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헬스케어 장비부터 적은 전력으로
작동
하는 디스플레이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며 “유연한 소재를 사용한 만큼 인체 어느 곳에나 쉽게 붙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권위지 ‘ACS나노’ 1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세상에서 제일 빠른 단백질’ 순간포착 첫 성공
2016.04.26
촉매작용 속도가 현재까지 알려진 단백질 중 가장 빨라 그동안 직접 관찰이 어려워
작동
원리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체 개발한 ‘고압력 냉각 기술’을 활용해 초고속으로 움직이는 탄산탈수효소의 작용 과정을 순간적으로 느리게 만들었다. 그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