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과학동아 l2014년 04호
- 급팽창이 일어나면 이 짧은 기간 동안에 양자요동이 순간적으로 얼어버리면서 주변보다 100만분의 1 정도 밀도가 높거나 낮은 지역이 생긴다. 이런 곳이 후에 은하로 발전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과학자들은 은하와 생명의 기원은 빅뱅보다 급팽창이라고 하곤 한다.하지만 이 모든 것은 138억 년 전에 ... ...
- [hot science] “그녀를 사랑한다면, 함께 맞으세요”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조금 달라 무엇을 접종할 것인지 선택이 필요하다.가다실은 바이러스 4종에 대해 99~100% 예방이 가능하다. 생식기사마귀를 일으키는 6, 11형과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16, 18형에 대한 항체를 만든다. 생식기사마귀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생식기 근처 피부와 점막에 사마귀가 나는 질환으로, 이 때문에 ...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얼마 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크림반도를 합병했다.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지 100주년이 되는 올해, 다시 그곳에서 큰 전쟁이 벌어질 뻔 했다. 일본 사회지도층은 경쟁적으로 ‘망언 퍼레이드’를 하고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자신들이 벌인 만행을 부인하며, 자칫하면 전쟁이 일어날 수 ...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지난번에 파울리라는 학생을 100년에 한 번 나오는 천재라고 하지 않았냐”며, “아직 100년이 지나지 않았다”고 받아쳤다. 아무튼 우여곡절 끝에 하이젠베르크는 가까스로 졸업할 수 있었다. 간신히 졸업한 하이젠베르크와 파울리는 각각 1932년, 194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또 다른 ... ...
- 나무 아파트, 몇 층까지 지어봤니?과학동아 l2014년 04호
- t이던 건물 무게는 절반(1만6100t)으로 줄었고, 9500t이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분의 1 이하(2100t)로 확 떨어졌다.국내에서도 목조 건물이 하나둘 시도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수원 산림유전자원부 안에 4층 목조 연구동을 짓고 있다. 경북 영주시에 들어설 국립산림약용자원연구소에도 3층 목조 ... ...
- 웃으면 복이 와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펑펑 솟아나는 최고의 ‘운동’이기도 하거든요. 15초 동안 큰 소리로 웃으면 100m를 있는 힘껏 달리는 것만큼 운동 효과가 있대요. 자주 웃으면 평소 열심히 운동하는 사람들처럼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가 줄고 수명도 늘어난답니다.Smile웃음이 웃음을 불러요너무 힘들고 ... ...
- 진실 혹은 거짓 달 미스터리 7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달의 공전속도는 빨라지고 점점 지구에서 멀어지게 되요.지구의 자전속도는 100년에 0.0015초씩 느려지고 있고, 3억 6000만 년 뒤에는 하루가 25시간이 된대요. 둘 사이가 더 멀어지면 달을 아예 보지 못하는 곳도 생기게 될 거래요. 지구의 자전속도와 달의 공전속도가 같아져 서로 같은 곳만 보며 ...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말했다. 더구나 사용후핵연료의 열량이 대체로 30년마다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100년이 지나면 원래의 10%로 줄어든다는 것도 중간저장의 장점이다. 사용후핵연료의 최종 목적지인 영구처분장 부지가 그만큼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영희 가톨릭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용후핵연료 처분 방식은 10만 ... ...
- 136억 살 최고령 별 찾았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이는 약 137억 년인 우주 나이와 거의 비슷하다. 연구팀은 이 별의 철 함유량이 태양의 100만분의 1에도 못 미치며 현재 알고 있는 어떤 별과 비교해도 60분의 1 미만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지식과 어긋나는 것으로,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원시 별은 질량이 매우 크고 철 같은 무거운 원소를 갖고 ... ...
- 박테리아 VS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완전히 달라요. 일단 크기부터 엄청나게 차이가 나지요. 박테리아는 수 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로 일반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만 바이러스는 수백 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어요. 또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에 기생하지 않으면 아무런 생명 활동도 하지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