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즈음
최신
근간
요사이
근래
근대
요즘
d라이브러리
"
최근
"(으)로 총 11,5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파킨슨병을 물리칠 인공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있어 의약품 실험에 이용될 수 있지요.일리 : 그러니까 너도 오가노이드인 거야?인공 뇌 :
최근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국립의대 제현수 교수팀이 최초로 중뇌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연구팀은 사람의 혈액에서 얻은 줄기세포를 이용해 임신 중기 태아의 중뇌와 비슷한 2mm ... ...
[과학뉴스] 길이를 내맘대로! 초소형 자석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크기와 모양이 고정되어 있어서 몸속에서 활동하기에 한계가 있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학교 김민준 교수팀이 작은 자석을 이용해 길이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지름이 4.3*μm인 작은 구슬 모양의 자석들이 일자로 연결돼 있는 형태랍니다. 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과거에는 과학자들이 이런 기생충을 없애는 방법을 찾는데에 집중했어요. 하지만
최근
에는 반대로 기생충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연구 중이랍니다.‘스파르가눔’은 사람 몸속 곳곳을 돌아다니는 기생충으로 유명해요. 하얗고 긴 지렁이처럼 생긴 스파르가눔은 사람의 입으로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똑똑한 새끼 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다르다’라고 생각하려면 변의 개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배워야 하지요. 그런데
최근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안톤 마르티노 박사팀이 갓 태어난 오리도 같음와 다름을 구분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오리는 태어나자마자 쳐다본 것을 부모로 받아들여 따라다니는 습성을 ... ...
[과학뉴스] 새로운 공룡의 반전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새로운 종의 공룡 화석이 발견됐어요.
최근
미국 필드자연사박물관 피터 마코비키 박사팀이 아르헨티나의 파타고니아 북부지역에서 2007년에 발견된 공룡 뼈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 공룡이 약 9000만 년 전에 살았으며 몸무게는 450kg, 몸길이는 6~7m 정도 되는 육식공룡일 거라고 ...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유골과 함께 이스라엘에서 발견됐어요. 분석 결과 1만 2000년 전 것으로 밝혀졌지요.
최근
독일에서도 1만 4000년 전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되는 개의 턱뼈가 발견됐는데, 모양과 크기가 늑대와는 조금 달랐어요.과학자들은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1만 3000년 전 쯤 개가 가축화 됐을 ... ...
[과학뉴스] 초소형 가오리 로봇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0원짜리 동전보다 작은 가오리 로봇이 개발됐어요.
최근
미국 하버드대학교 위스생물공학연구소 박성진 박사팀은 몸무게 10g, 몸통 너비 16mm의 초소형 가오리 로봇을 개발하고 이 로봇이 물속을 헤엄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답니다.가오리 로봇의 뼈는 금으로, 근육은 쥐의 심장근육세포로, 피부는 ... ...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강아지 번식공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강아지의 대부분은 강아지 번식 공장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어요.
최근
한 TV프로그램에서 현장을 고발하면서 강아지 번식 공장의 문제점이 알려지게 됐거든요. 강아지 번식 공장의 개들은 철창에 갇힌 채 오로지 강아지를 출산하는 목적으로 길러져요. 현재 법으로는 시, 군, ... ...
[핫이슈] 나는야 바둑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나는야 바둑왕’ 입문편은 바둑을 전혀 모르는 사람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어요.
최근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친절한 찬우쌤의 설명에 따라 간단한 용어부터 배워나가면 된답니다.게다가 강의를 들으면서 바로 바둑 게임으로 연습할 수 있어서 실력을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어요. 예전에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이때 화학물질이 코팅되는 유리 기판 때문에 태양전지가 두꺼워지는 거예요.그런데
최근
광주과학기술원 이종호교수팀이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해 머리카락보다 얇은 태양전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태양전지의 두께는 1μm로, 머리카락의 100분의 1에 해당한답니다.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