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망치지 말라고.”“그래…? 아빠가 이 강아지를 실제로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만들어
줄
수 있는데…. 한 번 해 볼래?”“정말요? 어떻게요?”“일단, 강아지가 움직이는 그림을 여러 장 그려 봐~!”그림이 움직이는 이유는 잔상효과 때문!만화영화나 게임을 보면 2차원 그림이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훨씬 무겁고, 그 무게 차이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보석은 여자들만의 관심사인
줄
알았는데, 진위여부를 감정할 때 수학과 과학을 이용한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잘 정리했어요. 김지원 기자는 배운 점과 느낀 점을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걸쳐 살았던 이 상어는 아랫텃이 원형 톱날 모양이다.➓ 모레이장어에일리언에게나 있는
줄
알았던 이중 턱이 실제로도 있다. 입 안에 있는 또 다른 턱에는 이빨도 나 있으며, 이 턱으로 입 안에 들어온 먹이를 붙잡아 목으로 넘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 ...
아이손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등 오르트 구름으로부터 오는 장주기 혜성은 태양계에 관한 많은 지식을 우리에게 전달해
줄
것이다. 그래서 혜성을 태양계의 타임 캡슐이라고도 한다.혜성이 오르트 구름에서 왜 태양까지 날아오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하지만 태양계 가까이 지나가는 떠돌이별의 중력을 받아오르트 구름의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분야는 이제 임상 치료와 연결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는 3~5년 뒤에는 좋은 품질의
줄
기세포가 환자에게 적용될 수 있는 단계에 이르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측했다. 정 교수의 활약이 기대되는 시점인 것이다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세계 정상의 석학 열한 명을 초청해 과학 꿈나무들에게 노벨상의 꿈을 심어
줄
계획이다. 10월 28일과 29일,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열리는 이번 강연에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만 네 명이 참석한다. 특히 올해 화학상 수상자인 아리에 와르셸 교수도 수상 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해 기대를 한 몸에 받고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운동(관성)을 이겨내기엔 너무 약했습니다. 결국 코왈스키는 자신과 스톤 박사의 연결
줄
을 풀고 우주공간으로 날아갑니다. 처음 제트팩이 자신을 밀어냈던 그 힘을 그대로 가지고 말이지요. 코왈스키가 날아간 방향이 지구라면 그는 마치 운석처럼 떨어져 불타오를 것이고, 반대 방향이라면 ...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하면서 인생을 즐길
줄
안다는 게 최 교수의 가장 큰 장점이다. 즐길
줄
모르는 것과 즐길
줄
아는 것은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다양한 활동은 자기 삶에 대해 느끼는 자신감의 밑바탕이 됐다. 최 교수처럼 서울대 교수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한 얘기겠지만 공부를 잘해야 한다. 공부를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IT 특유의 '접근성'이 기존에는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줄
수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나이가 어리거나 교육을 덜 받은 사람,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은 예전에는 다른 사람보다 지식이나 기회, 사람들과의 교류에 제약이 많았다.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곳에 가고 싶어도 ... ...
수학을 사랑한 기기묘묘 음악가 열전!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이겨내는 방법을 찾아냈어요. 바로 작곡이었어요.수용소에는 저 말고도 악기를 다룰
줄
아는 동료들이 있었어요. 전 그들과 함께 연주하기 위해 독일군 장교가 건네 준 연필과 오선지에 곡을 쓰기 시작했지요. 이렇게 탄생한 곡이 (1941)예요. 4중주라고 하면 바이올린 2대와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