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는 자외선으로 얼굴을 구분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먹이를 없앤 뒤에도
자리
돔은 여전히 먹이가 있었던 종이를 알아보고 찾아왔어요. 즉,
자리
돔이 자외선으로 얼굴과 먹이가 있는 곳을 구별한 거예요. 연구팀은 같은 종 끼리도 자외선으로 서로를 알아보는지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갈수록 희귀해진다. 지금까지는 발견된 가장 큰 피보나치 소수는 81839번째 있는 수로 17103
자리
의 수다.다함께 찾는 메르센 소수인터넷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럿이 함께 메르센 소수를 찾는 계획이 있다. 메르센 소수를 찾기 위해서는 매우 강력한 컴퓨터가 필요하다. ... ...
기호 1 미로를 처음 탈출한 사람은 바로 나!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미노타우로스가 갇혀 있었던 미로 그리기십자가 모양의 선분을 그리고 4곳의 가장
자리
에 그림과 같이 ‘ㄴ’ 모양의 도형을 그린다. 그리고 그 위에 점을 찍는다. 그린 도형과 점을 순서대로 하나씩 연결하면 미로를 그릴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로 탈출의 명수를 찾아라! 기호 1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한편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나노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나노는 소수점 아래로 9번째
자리
에 1이 붙는 작은 수다. 나노라는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난쟁이 ‘나노스’에서 가져왔다.나노는 마이크로보다 1000분의 1만큼 작고, 밀리보다는 100만 배나 작다. 머리카락 1가닥의 크기가 0.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열린 허블펠로우 학회에 다녀왔다. 전 세계 허블펠로우들이 모여 연구 내용을 교류하는
자리
였다. 허블우주망원경 프로젝트를 기획한 원로 과학자 리카르도 지아코니도 참석했다. 허블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 초대 소장을 지내기도 한 지아코니 교수는 허블펠로우십을 만든 장본인이다.“젊은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일반인뿐 아니라 저희들에게도 큰 기회입니다. 다들 그 분야에서 최고 실력자들이 모인
자리
이니 여기서 공동연구의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러고 보니 김 교수님이 만든 마이크로RNA를 제가 개발한 나노입자에 붙여 암세포 같은 표적부위에만 작용하는 약물을 만들 수도 있지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위해 2005년 해파리를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어망을 개발했다. 또 해파리를 채집해 그
자리
에서 분쇄하는 제거 망을 개발하기도 했다. 앞으로 한국의 바다를 찾아올‘거대한 손님’은 누굴까. 지구의 기후가 변하면서 심해에 살던 거대동물들이 갈 길을 잃고 찾아온다지만, 사람들이 이들을‘괴물’로 ... ...
우주방랑자 구상성단 무리 첫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지어 있는 모습이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이 교수는 “지구에서 5400만 광년 떨어진 처녀
자리
은하단의 사이에서 구상성단들이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며 “구상성단 무리의 전체 크기가 수백만 광년 규모로 거대하다”고 밝혔다. 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갈 수 있는 거리를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물을 좋아하는 소형 물고기로 남해나 제주도 근해에 살며, 고소하고 비린 맛이 없는
자리
물회로 유명하다. 놀래기과의 혹돔은 이마에 커다란 혹이 달려 있는 물고기로 1m에 육박하는 엄청난 몸집을 자랑한다. 혹은 수놈에게만 생기는데, 어릴 때는 혹이 없지만 성숙하면 이마가 불룩하게 부풀어 올라 ... ...
학문 그 이상을 배운 소중한 경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호주의 연구자들과도 학회 모임을 통해 종종 만나서 서로의 연구주제를 발표하는
자리
를 가졌다. 국내 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세계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던 기회였다. 연구원들에게 “Hi, Bob!”이라고 인사받는 맥케이 교수가 이끌어가는 탈권위적이고 자유로운 연구실 분위기가 한몫했다.필자는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