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일주 단독 비행 이륙 준비 끝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01년 비행기
역사
에 새로운 장은 과연 열릴까. 세계 최초의 무착륙 세계 일주 단독 비행의 성공 여부를 놓고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화제의 주인공은 1인승 터보팬 제트기 ‘글로벌 플라이어’. 길이 13.4m, 날개폭 34.8m의 이 제트기는 2월초 총 3만6787km에 이르는 긴 여정에 오를 예정이다.글로벌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어긋나며 큰 지진을 일으킨다”며 지진이 주기성을 지니며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했다.
역사
상의 패턴과 최근 관측결과를 종합할 때 대형 지진과 그로 인한 쓰나미의 발생을 예견한 시 교수는 이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녔다. 지난해 7월에는 포스터와 소책자를 직접 만들어 이번에 ... ...
지진해일 22만명 목숨 앗아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 해일은 보통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과 바람에 의한 폭풍해일로 나눌 수 있는데,
역사
기록에서는 이를 구별하기 쉽지 않다. 조선시대 이래 우리나라 연안에서 기록된 해일은 총 48회에 달하나, 중국, 일본, 러시아 등의 지진기록과 대조해 확실히 지진해일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기록은 이들 중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인류조차도 자유롭지 못하다. 클레오파트라의 코가 정말 한치만 더 낮았더라면 세계의
역사
가 실제로 바뀌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갈라파고스를 떠나기 전날, 산타크루즈섬에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바야흐로 우기가 시작되는 시기다. 이제 이곳의 생물들은 다시금 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채비를 차릴 ... ...
세계 과학자 850명 이끄는 물리학자 - 시카고대 김영기 교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대학과 연구소에서 모인 850명의 물리학자들을 대표하는 자리에 올라 질량의 근원을 밝힐
역사
적인 실험을 총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지난해 5월 850명의 투표를 거쳐 미국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 ‘양성자·반양성자 충돌실험그룹’(CDF)의 대표로 선출됐다.한국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분화하는 능력이 있다면 만능분화 가설과 같은 의미가 될 수 있다.성체줄기세포 연구의
역사
100여년 전 몇몇 의사들은 빈혈이나 백혈병 환자에게 골수를 먹였다. 당시에도 골수안에 적혈구와 백혈구를 만들어낼 조혈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추측하고 있었다는 얘기다. 1900년대 초반 유럽의 ... ...
서양 200년 앞선 세계 최고의 배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9세기 무렵 바다를 주름잡았던 장보고의 신라선도 250t급 규모였다”고 주장했다. 당시
역사
적 정황을 고려하고 문헌을 그대로 믿는다면 고려의 조선기술도 중국과 함께 서양보다 훨씬 앞선 세계 최고 수준에 올라있었을 것이다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글을 직접 읽어본 사람도 거의 없을 것이다.르네상스 이후 현대에 이르는 500여년의 지식
역사
를 대표하는 천재 과학자들의 기록을 담은 책 ‘지식의 원전’이 나왔다. 인체 내부 구조에 대해 몹시 궁금해 하던 다빈치의 기록부터 핵 실험을 지켜보며 극도의 희열감을 고백한 파인만의 기록까지 ... ...
레우벤후크의 현미경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우유, 피, 뇌조직을 연구했다. 액체를 관찰하는 방법을 개선시켜 가다가 그는 결국 인류
역사
상 최초로 미생물을 관찰하게 된다.레우벤후크가 처음 미생물을 관찰했다는 사실을 왕립학회에 보고한 것은 1674년 9월 7일이었다. 호수에서 물을 떠서 현미경으로 관찰을 하던 레우벤후크는 그 속에서 뱀이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단백질의 기능을 알아내 많은 특허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사실 인공진화 기술은 인류
역사
와 함께 계속 발전해왔다. 그 1단계는 교배에 의한 인공진화다. 약 1만년 전 농경·목축사회가 시작되면서 인간은 의도적인 교배로 유전자를 재조합해 인간에게 필요한 종자와 가축을 만들어왔다. 그러나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