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북상한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에 적응한 종이 경쟁에서 살아남는다는 다윈의 자연
선택
이 사과에도 그대로 적용된 셈.아예 시원한 곳을 찾아 평지를 버리고 산에서 사과를 재배하기도 한다. 몇 년 전부터 경북 의성군 인근에는 해발 250~400m 높이에 사과 과수원이 들어서고 있다. 30℃ 이상 고온이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시험임무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ESA는 조만간 2기의 시험위성을 추가로 발사해
선택
된 시험지역에 대해 정밀 위치 및 시각동기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의 미니 위성 군집을 구성할 계획이다. ESA는 이런 방식으로 모두 5조원(38억 유로)을 들여 2010년 말까지 고도 2만3616km인 3개의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김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두 가지 반응 경로가 있는 화학반응에서 특정한 생성물만
선택
적으로 고를 수 있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화학반응에서는 한 가지 이상 생성물이 생기기 마련이다. 화학반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원하는 생성물이 생기는 반응만 일어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스피드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곽상현(조선해양공학과 4년) 씨는 지난해 가을 학부 졸업논문 주제로 로봇 물고기를
선택
한 것이 계기가 돼 이번에 로피까지 만들게 됐다. 평소 손재주가 남다르다는 평을 듣는 곽 씨는 형이 국제기능올림픽대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경력이 있어 ‘집안 내력’ 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고 한다.곽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장치 접안경들의 초점거리가 모두 다르므로 관측대상의 거리에 따라 알맞은 접안경을
선택
하여 관측한다천체망원경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각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 ...
모리 박사와 함께한 7인의 우주인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하고 있는가를 통해 우리나라 우주인 양성 프로젝트를 다시금 생각해봤다. 일본이
선택
한 8명의 우주인일본은 1985년부터 지금까지 4회의 선발을 거쳐 모두 8명의 우주인을 배출했다. 1985년 첫 번째로 ‘탑재체전문가’(Payload Specialist ; PS) 선발을 목적으로 지원자 533명 가운데 서류심사를 비롯한 ... ...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선택
되는 것으로 결정했다. 젓가락의 번호 순서대로 멍구, 땡구, 칠구, 팔구가 젓가락을
선택
했다면 가장 긴 젓가락을 가지고 있는 친구가 누구일까? mission 4 그릇 속의 진품을 찾아라!모두 배불리 먹고 설거지를 하고 있을 때 희한한 일이 벌어졌다. 설거지를 하는 통 속에 조상대대로 내려오는 진품 ... ...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역할을 한 것은 앤이 뿌린 향수였을 것이다. 원주민 처녀는 이 향수가 없어 킹콩의
선택
을 받지 못한 것이었다.또다른 이유가 있다. 앤이 킹콩 앞에서 온갖 재롱을 떠는 장면을 기억하는가. 실제로 고릴라는 발정기에 들어간 암컷이 입술을 꼭 깨물거나 입을 동그랗게 모으며 수컷을 간절히 바라본다. ... ...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오로지
선택
받은 자만이 이런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며,
선택
받은 자는 곧 주술을 이해하는 ‘마법사’와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하지만 과학자들이 왜 예술적이야 하는가 하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특히 한국처럼 뛰어난 소수 위주로 교육이 편중된 나라에는 더욱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현재 연구 분야도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신들이
선택
한 분야이기 때문에 연구실 학생들은 더 열심히 연구한다.연구팀은 지금까지 박사 27명과 석사 43명을 배출하며 160여 편의 논문과 국내외 특허 20여건을 냈다. 그런데 논문 발표 건수는 박 교수가 KAIST 학생처장과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