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평화로이 누워있는 암소를 끈기 있게 관찰한 ‘21세기 파브르’들 외에도 다양한
분야
에서 황당한 연구성과가 나왔다. 일본 테이쿄대 마사테루 우치야마 교수팀은 심장이식 수술을 한 쥐에게 오페라를 들려주면 생존기간이 늘어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이그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똑같이 ... ...
환자의 가슴과 배를 열다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수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로 인해 안과와 이비인후과, 비뇨기과 등이 전문
분야
로 성장했다.외과술은 20세기에 들어와 두 차례의 전쟁을 거치면서 크게 발전했다. 혈액형이 발견되면서 안전한 수혈이 가능해졌고, 혈액을 대치할 수 있는 각종 수액요법들이 발전하면서 외과의사는 환자의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대한 조언을 부탁했다. “경제적인 문제도 무시할 순 없지. 중요한 거야. 하지만 한
분야
에서 최고가 되는 게 필요해요. 용꼬리보다는 뱀머리가 되는 거지. 그리고 꿈은 크게 꿔야 해. 그래야 뭐든 이룰 수 있어요. 꿈을 작게 그리지 마세요. 웅장한 꿈을 꾸세요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전공했다. 항공우주공학 이외의
분야
가 인공위성 개발에 중요한 유관
분야
지만, 이
분야
들의 전공자는 얼마든지 인공위성 개발 이외의 다른 직업을 택할 수 있다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관심
분야
였던 탈것을 만들어 보급하는 것. 탈것은 우리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분야
로, 에디슨의 GE가 우리의 삶을 크게 바꿔 놓았던 것처럼 조 대표 역시 사회를 바꾸고 지속가능한 형태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첫째는 꿈, 둘째는 열정“저는 좋은 직장에 가지 못했기 때문에 창업하는 건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같은 영화가 나와 화제가 많이 됐고, 멀티미디어가 부각됐죠. 그래서 컴퓨터과학의 여러
분야
중 CG를 선택하게 됐습니다.”지금도 그는 영화 감상을 즐긴다. 다만 과거와 달리 이제는 영화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알고 있다. 영화 작업을 할 때는 CG가 들어가지 않은 날것 그대로의 촬영본을 보는 일도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할 수 있는
분야
입니다. 집을 여러 채 지어본 사람도 건축가 못지 않게 잘 알아요. 이런
분야
에서 견디려면 지구력도 있어야 하죠.” 건축가의 인기는 여전하다. 자신이 머리로 구상한 공간 구조가 눈 앞에서 정말 실현되는 모습을 보는 것은 건축가만의 특권이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사람이나 물체, 정보의 흐름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
다. 특히 ‘리틀의 법칙’은 다양한 ‘대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인다.리틀의 법칙은 ‘한 공간 안에 머무는 물체의 수(L)’가 ‘기준 시간 동안 물체가 들어오는 양(r)’과 ‘머무는 시간(W)’에 비례한다는 ... ...
우주보다 큰 허세 중2병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않는가!정상적인 발달 과정이니만큼 사춘기의 중2병은 대체로 무해하다. 오히려 그
분야
에 대한 관심을 유지한다면 훗날 취미로 삼거나 전공으로 공부하게 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다만 성인이 되어서도 중2병을 벗어나지 못한다면 망상에 빠질 수도 있어 위험하다.공감과 소통이 중요최근 각종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주 교수는 “우리 학과에서 학부를 마치고 의대 대학원에서 핵의학을 공부하면 방사선
분야
전문가가 되는 이상적인 진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원자로 물리 세계 최고 자부주 교수의 전공은 핵반응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해서 원자로 내의 열생성 분포를 추정하고 시간에 따른 원자로 출력의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