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
견본
실례
예제
일견
사례
바라보기
d라이브러리
"
보기
"(으)로 총 3,9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백℃의 저온에서도 공기는 액체로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습하다는 성질을 가졌다고
보기
어렵다.한편 공기가 뜨거운 성질을 가졌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가설은 자신의 개인적 경험을 항상 성립하는 진리처럼 주장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공기 역시 포함된 수증기 함량에 따라 습하거나 건조할 수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화학교사가 있다면, 1백40년의 역사를 가진 패러데이의 양초 실험 하나하나를 직접 재현해
보기
를 권하고 싶다. 과학자와, 역사학자, 그리고 교육자로서의 경험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물리와 화학을 넘나든 발견과 과학의 대중화마이클 패러데이(Michael Faraday; 17911867)는 1791년 런던 부근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약물투여가 즉각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제는 병원에 가서 혈액을 채취한 후 그 결과를
보기
위해 며칠을 기다렸다가 다시 병원을 찾아갈 필요가 없다.더 나아가 소형화기술은 인체 내에 삽입돼 질병의 조절과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성공적인 예는 심장속도 조절기다. 미국의 부통령 딕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작은 보름달(29′26″)에 비하면 무려 10% 이상 큰 크기다. 주의깊게 관측한다면 맨눈으로
보기
에도 달이 커보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시야에서 사라지는 순간 포착달 크기를 재볼 수는 없을까. 달 크기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면 가장 클 때와 작을 때를 비교해 크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테니까. ... ...
두나무 가지 이어져 한 몸 된 연리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이어진 것이 아니라, 같은 나무의 가지가 서로 연결된 것이므로 전형적인 연리지라고
보기
는 어렵다. 또 전북 고창군 해리면 동호해수욕장에 자라는 아름드리 곰솔은 뿌리목 부분이 서로 연결돼 있다. 아마 옛날에는 뿌리가 서로 이어져 있었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노출돼 가지처럼 된 것으로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우주공간에서 그 위치를 그리 바꾸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목성을 잘
보기
위해 1년 정도 기다려야 한다.서쪽으로 가다가 동쪽으로?요즈음 목성은 쌍둥이자리에서 보인다. 쌍둥이자리는 어디에 있을까? 겨울밤이 깊어갈 때 하늘 높이 떠오르는 별자리인 쌍둥이자리는 낯익은 ...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단백질 연구의 또다른 어려움이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단백질이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기
도 힘들다. 때문에 생명활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단백질 전체를 바라봐야 한다.그러나 얼마 전까지 단백질 연구는 개별적으로 수행돼 왔다. 그래서 각 연구자는 특정 단백질을 주제로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파헤쳐지는 지하실이 어떻게 배열돼 있고 칸막이 등이 어떻게 돼 있는가를 자세히
보기
위해 땅 위에 배를 깔고 엎드려서 온 신경을 눈에 집중시켰다. … 쇠똥구리가 만든 이 이상한 공을 처음 봤을 때의 감격을 나는 잊을 수 없다. … 파라오의 어느 무덤 속에서 죽은 왕에게 바친 에메랄드로 조각한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예상됐다.18일 밤부터 19일 새벽에 걸쳐, 전국 곳곳에서 유성우를 즐겼다. 아마 별
보기
좋은 장소라면 어느 곳에서나 한마음으로 하늘을 쳐다보지 않았을까. 유성우 관측 행사도 여러 곳에서 열렸다. 경기도 이천 덕평 수련원에서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가 주최한 행사가 대표적이었다. 이 행사에는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사실을 알 수 있다.두가지 경우 개가 굉장히 다른 행동 표현을 하고 있다. 시각적으로
보기
만 해도 무슨 뜻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자기들끼리의 표현 방식이지만 개가 아닌 사람이 봐도 어느 정도 의미는 찾아낼 수 있다는 말이다. 바로 이런 방법을 통해서 동물의 의사소통에 서서히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