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능력을 20%가량 개선했다. 플라스틱 생합성 기술 분야 전문가인 박시재 이화여대 차세대기술공학부 교수는 “기존에 구조가 잘 알려진 큐틴 분해 효소(cutinase)의 아미노산 서열을 참조해 페테이스의 염기서열을 바꿔 활성을 향상시킨 것”이라며 “페트처럼 널리 쓰이는 플라스틱을 자연적으로 ...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cm3 부피의 식품이 탄생했다. 한 끼 식사가 될 만큼 충분한 양의 식품을 인쇄하려면 현재 기술로는 수 시간이 걸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공학자들은 3D 푸드 프린터가 미래 식량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이 교수는 “3D 구조로 디자인한 대로 인쇄하기 때문에 손으로 만들기 어려운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중심에 있는 ‘공인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는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텔스타 18’이 선수들과 함께 그라운드를 누빕니다. 월드컵의 역사는 19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공인구를 도입한 건 그 뒤로 40년이 흐른 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입니다. 그전까지는 대회를 ... ...
- [과학뉴스] 벽 뚫는 투시력, 노인 케어에 쓰일까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람의 몸에 부딪쳐 반사되는 전파(RF)를 신경망으로 분석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 ‘RF-Pose(포즈)’를 공개했다. 연구팀은 걷고, 말하고, 앉고, 문을 여는 등 수천 개의 움직임을 촬영하고 그 때 반사되는 전파를 측정해 인공지능에 학습시켰다. 그리고 특정 전파가 감지될 때 사람의 움직임을 예측해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거대한 시설이 필요하다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정 책임연구원은 “동위원소 분석은 기술적인 분석과 역사적 사료나 증언을 바탕으로 한 문헌적인 분석이 동시에 진행되는 분야로, 이들이 잘 어우러지면 신원 확인을 위한 결정적인 단서가 나올 수 있다”며 “전쟁에서 희생된 전사자들의 넋을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이동준 교수는 “최근 군집로봇의 이동과 위치 인식 기술 등이 상당히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Part 3. 긴급! ...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윤보은 단국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비신경세포 중 가장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받은 뒤, 대만 중앙대 연구원과 대만 중앙과학원 지구과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을 거쳐 2014년부터 부산대 지질환경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육지과 바다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특성, 지진과 단층의 상관성, 지하구조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Culture] 소행성 ‘베누’ 샘플 귀환 작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 경우를 가정해서 그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를 검토하고, 기술적 타당성 등을 논의해왔다. 최근에는 2017년 일본 도쿄에서 행성방위학회가 열렸다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2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