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d라이브러리
"
결합
"(으)로 총 3,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래아 한글 살린 국민운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계속돼야 할 것이다.그러나 더 시급한 것은 재원 마련이다. ㅎ·ㄴ글지키기운동과 한컴이
결합
한 것은 의지일 뿐 자금마련 등의 숙제는 계속 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이나 에인젤(벤처기업 투자가)이 필요하다.정부가 나서 한컴과 ㅎ·ㄴ글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시장원리에 맞지 ... ...
Ⅱ 생사를 넘나드는 생명의 조절자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로돕신(rhodopsin)이 있다. 이 생체분자는 옵신(opsin)과 레티날(retinal)이라는 두 생체분자가
결합
해 분자스위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로돕신은 빛에너지를 받아 레티날의 구조를 변화(trans구조에서 cis구조로 변화시키거나 그 반대로 작용)시키면서 전기화학에너지로의 전환과 제어기능을 한다. ... ...
인간과 더불어 산 얼음의 비밀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잡아 매 단단한 고체를 형성한다. V자형의 꼭지점에 있는 산소 원자는 원래 2개의 수소
결합
을 만들 수 있다. 때문에 다른 물분자들의 수소를 끌어당겨 산소 원자 1개에 4개의 수소가 달라붙는 형국이 된다. 이를 중앙의 산소 원자에서 보면 주변의 수소들이 마치 정사면체의 꼭지점에 하나씩 있어 그 ... ...
Ⅳ 인류와 함께한 팔방미인 탄소재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쓰임을 확대해 가는 재료계의 팔방미인이다. 이는 탄소가 가진 천부적 특성. 즉 다양한
결합
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래의 나노테크놀러지, 반도체, 에너지, 우주 산업에서도 탄소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지상 최대 망원경 시동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또 망원경들을 서로 간섭계를 이루도록 해 각 망원경에 들어오는 광파의 패턴을
결합
하게 되면 광학천문학의 한계마저 파괴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개의 망원경이 간섭계를 이루게 되면 이 효과는 지름 1백m나 그 이상의 지름을 갖는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 ...
용가리와 고질라에 숨은 뜻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필연적인 만남이었다. 그리고 '우주전쟁'은 SF 역사상 가장 성공적으로 이런 상상의
결합
을 이루어낸 작품이다.이 작품의 괴물은 화성인. 단지 지구인보다 우월한 과학기술문명을 지녔다는 점과 지구를 정복하려는 의도를 지녔다는 점 때문에 끔찍한 괴물이 되고 말았다.그러나 '우주전쟁'의 괴물은 ... ...
번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역할을 해냈다는 이야기도 있다. 번개가 치면 공기중의 산소분자는 유리된 산소와
결합
한 오존이 돼 공기 중에는 오존량이 급격히 증가한다. 이러한 오존은 층을 이뤄 지구 생명체의 보호막 역할을 해냈다는 것이다. 동시에 대기중의 공중 질소는 해양에 녹아 들어가 원시 생물 탄생에 필수적인 ... ...
② 인체에 어떻게 영향미치나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무리하게 정상보다 훨씬 많은 자극을 받는 셈이다.한편 환경호르몬이 수용체와
결합
하지 않은 채 악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존재한다. 천연호르몬은 자신의 기능을 다하면 생체에서 분해된다. 만일 이 분해 과정을 촉진시킨다면 천연호르몬은 미처 활동을 마치기 전 사라지게 될 것이다. 예를 들어 ... ...
2. 창의성 축구+한국형 실리축구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4:4:2 포메이션을 기본으로 남미 특유의 개인기에 유럽 스타일의 힘과 세기를 절묘하게
결합
해 개인기에 의한 묘기가 살아나면서도 빠르고 힘찬 공수전환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자갈로 감독의 '아트 사커'를 창출해냈다.그렇다면 한국 축구의 이상적인 스타일은 어떤 것일까? 최근 경기 상황을 분석해 ... ...
2. 앤지오스태틴과 에도스태틴의 미래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살짝 찔려도 자지러지는 사람이 있는 한편 무덤덤한 경우도 있는 것처럼 똑같은 정도의
결합
이 발생해도 반응도의 차이가 생길 수 있다. 수용체 수가 달라질 수 있는 상황도 충분히 예상이 가능하다. '학문'적 희망과 '환자'의 희망이처럼 동물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해도 사람에게 적용되는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