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포함된 광물은 색이 어두워지고, 무게도 무거워진다.기준둘 : 결정 모양광물이 외부의
열
이나 압력을 받지 않으면 규칙적인 겉모양을 갖게 되는데 이를 결정형이라고 한다. 석영은 육각기둥 모양, 장석은 두꺼운 판 모양, 흑운모는 얇은 판 모양이다.기준 셋 : 조흔색광물 본래의 색이 아닌 광물 ... ...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제강법으로 만들어진 강을 도가니에 장입하고 밀폐하여, 외부에서 가스로 가
열
· 용해시켜 강 속의 기포 · 편석 · 슬래그 등을 자연스럽게 부유, 분리시킨 다음 도가니로를 꺼내어 용강(溶鋼)을 레이들에 옮겨서 주형에 주조하여 강괴를 만든다귄츠 이전의 빙기 C B 에베를에 의해 제창되었다알프스 ... ...
석빙고 없이 여름을 어떻게 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했습니다. 볏짚은 안에 비어 있는 공간이 많아서
열
을 흡수하기 때문에 훌륭한 단
열
재 역할을 했답니다.언뜻 생각하면 간단한 원리라서 별 것 아니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석빙고와 같은 시설을 만들어 여름에도 얼음을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은 세계에서도 거의 찾아볼 수 없다고 하니 어깨가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
광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공부도 할 수 없고 기분도 우울해. 밥도 먹기 싫어.월드컵 증후군 이겨내기황상민 교수:
열
광적인 응원이 끝나면 우리 몸에는 변화가 생기지. 흥분했을 때 뇌가 온몸에 분비하던 위험신호들이 서서히 사라지거든. 그러나 흥분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몸에 문제가 생기고 말아. 몸이 긴장했을 때 ... ...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학의 역사에서 이런 경우가 많다. 공대생을 괴롭히는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은
열
전도 미분방정식을 풀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그와 완전히 별개의 이론으로 발전했다. 집합론은 엉뚱하게도 게오르그 칸토어가 적분을 연구하다가 발견했지만 지금은 수학의 기초로 자리잡았다.이 문제도 ... ...
메시에와 메섕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수년간 기울인 노력은 물거품이 돼 버렸다.좌절을 맞본 메시에는 혜성에 남다른
열
정을 쏟기 시작했다. 드릴이 은퇴하고 4년이 지난 1764년 혼자 힘으로 혜성을 처음 발견한 뒤 15년 동안 혜성 21개를 발견하는 업적을 남겼다. 메시에 목록의 탄생메시에가 혜성과 혼동되는 성운성단의 목록을 작성하기 ... ...
열
은 내 몸의 수비수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평소보다 두 배나 많은 림프구가 HEV에 붙어있었다. 에반스 박사는 이 이유를 “
열
이 림프구와 HEV를 흡착시키는 단백질인 ICAM-1과 CCL21라는 수용체를 활성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타란툴라의 독은 맵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Psalmopoeus cambridgei )의 독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밝혀졌다. 타란툴라에 물리면 붓고
열
이 나거나 독감에 걸린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독이 어떤 방식으로 이런 고통을 유발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신경학자인 데이비드 율리어스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결과 보다 무거운 원자핵에 융합하는 현상을 응용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 지
열
· 수력 · 풍력 · 해양 · 바이오매스(biomass) 등 천연적으로 존재하고 언제나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계기착륙장치(ILS)와 결부시켜 사용하는 일종의 무지향성 무선표지(NDB ; non directional radio beacon) 200~415kHz 사 ...
쿨하게
열
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달리 온도 변화를 1℃ 이내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 문을 위로
열
게 만들어 문을
열
때 냉장고 안의 찬 공기가 뭉텅이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막았다. 김치 맛을 좋게 하는 ‘발효과학’의 비밀은 온도 조절인 셈이다.반도체 산업도 좋은 실리콘 결정을 만들기 위해 온도를 세밀하게 조절하는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