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독자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각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건물 때문에 항법신호가 차단돼 정상적인 위치 제공이 어려웠던 도심에서 위치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위성항법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상해 주는 ‘SBAS(위성 기반 보강 시스템)’의 증가도 위성항법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한몫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도 ... ...
-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지시에 따라 해저면에서 3cm 깊이에 있는 부드러운 해저층을 직접 채집했다. 그리고 그 안에서 살고 있는 저서생물을 보기 위해 펄과 모래가 섞인 해저층을 수십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가는 체로 수차례 걸렀다. ‘노동’에 가까운 힘든 작업인데도 체험단은 지치지 않았다. ... ...
- Part 4.독자가 찾은 9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구점원’이라고도 하죠. 2, 황희찬 선수의 등번호는 9! - 행복하다 독자아시안게임 결승전에서 한일전 쐐기골의 주인공인 황희찬 선수의 등번호가 9입니다! 값진 땀을 흘리며 끝까지 달리던 선수들의 모습이 정말 감동적이었어요.1928년부터 축구 선수 옷에 번호를 매기기 시작했어요. 포지션마다 ... ...
- [오일러 프로젝트] 스도쿠 해결사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가로·세로가 각각 9칸인 총 81칸의 퍼즐판에 1부터 9까지 수를 행과 열, 3×3 상자 안에 중복되지 않게 채워 넣으면 된다. 규칙은 간단하지만 스도쿠를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무려 6,670,903,752,021,072,936,960가지나 된다. 2006년 영국 수학자 프레이저 야비스는 공개된 숫자가 없을 때 가능한 경우를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R&E 활동, 교사에게 도움 받는 법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등 취급에 주의를 요하는 물건이 많은 만큼 학생들끼리만 실험을 진행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반드시 지도 교사와 함께 해야 합니다. 그런데 학생들이 R&E를 진행할 때 제출 마감을 앞두고 벼락치기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과정에서 갑자기 추가 실험이 필요해 급하게 실험실 사용 허락을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풀 필요 있나요? 초중고 학생도 수학 시간에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 풀면 안 되나요? 물론 되죠. 요즘은 수학 교육에 컴퓨팅 사고력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김준석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중학생도 풀수 있는 수학 문제를 ‘옥타브’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결하는 방법을 ... ...
- [수학공작실] 볼록·오목정다각형으로 만드는 열쇠고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나눌 수 있다. 볼록다각형은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이 모든 대각선이 그 다각형 안에 있는 다각형이다. 오목다각형은 아래 오른쪽 그림과 같이 대각선 중 단 하나라도 그 다각형 바깥에 있는 다각형을 말한다. 즉 볼록다각형이 아닌 다각형은 오목다각형이다. C오목정7각형은 몇 가지가 있을까? 오목정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하이브리드 감광제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는 빠르게 퍼지고 항생제로도 치료가 안 돼 ‘슈퍼 박테리아’로 불린다. 최근 슈퍼박테리아와 같은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제거하는 ‘하이브리드 감광제’가 미국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8월 19~23일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린 제 256회 ‘미국화학회(ACS) ... ...
- [Culture] 내 비행기는 ‘왜 때문에’ 못뜨나 평화로운 비행 막는 복병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런 상황을 고려해 여러 명의 전문가들이 모여 최종 결정을 내린다”며 “안전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만큼 조금이라도 위험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최대한 보수적으로 결정한다”고 ... ...
- 100억 년 동안 1초도 안 틀리는 광시계로 더 정확해진 초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극복할 수 있는 특수한 진공조를 설계해 현재 두 번째 이터븀 광시계를 개발 중이다. 안정하고 정확한 광시계가 개발되면 새로운 초의 정의가 탄생할 수 있다. 전 세계 서로 다른 표준기관 세 곳에서 제작한 광시계가 모두 10-18 수준의 불확도를 가지고, 상호 비교 시 차이가 5×10-18 미만일 경우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