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명
정신문명
물질문명
교양
culture
생활풍속
문화도
d라이브러리
"
문화
"(으)로 총 2,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영혼을 팔아먹었다」는 비판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이제껏 일본기업의 미국기업 인수로는 금액에서 최대인 동시에 대중
문화
사업에서 '
문화
식민주의자'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던 미국의 체면을 크게 손상시킨 것이다. 지난 9월초 이 소식이 전해지자 미국의 신문·방송·잡지는 크게 문제삼기 시작했고 '뉴스위크'지는 표지에 ... ...
과학기술대 첫 졸업생들의 얘기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있는 유연한 사고방식이 매우 중요하죠. 그러한 인성은 다양하면서 자율적인 대학
문화
속에서 싹틀 수 있다고 봅니다. 아무튼 학교에 대한 평가는 졸업생이 사회에 나가 어떠한 평가를 받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제 여러분들의 어깨에 과기대의 모든 것이 달려 있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 ...
뉴미디어 CATV 내년에 등장할듯 내용과 준비상황을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확대되어 간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들을 살펴볼 때 우리나라도 이제 국민의 건전한
문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라도 조속히 종합유선TV의 도입이 요구된다.정부차원의 육성책 아쉬워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삼성 럭키금성 현대 포철 등 주요 대기업을 중심으로 몇몇 기업들이 본사건물등에 ... ...
원예 꽃을 가꾸며 보낸 40년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몇번씩 일어났지만 참고 견디는 수 밖에 없었다. 우리사회는 꽃에 대한 지식이나
문화
가 너무 없다. 만약 '밥도 못먹는데 꽃이 다 무어냐'는 논리가 타당하려면은 '밥도 못먹는 주제에 그림은 무슨 소용이 있으며 음악은 또 무어냐'는 결론도 내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음악이나 미술이나 꽃은 다같은 ... ...
세계각국의 컴퓨터 연구「컨소시엄」 90년대에 승부를 건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한직장에 평생 몸담고 있기 때문에 협동
문화
가 발달되어 있다"고 지적하면서 "이같은
문화
적 토양을 바탕으로 하여 연구개발을 위한 정보교류가 이루어지므로 유사한 기술의 개발로 인한 자원낭비가 원천적으로 봉쇄될 뿐만 아니라 기술향상속도는 한층 가속화된다"고 자신감을 표현한다.과연 누가 ... ...
표준한글코드, 문제점은 없는가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그러나 영원한
문화
창달을 위한 밑바탕으로서의 글자인 한글을 생각할 때 컴퓨터가 한글
문화
의 풍부함을 제한해서는 안된다. 2바이트에서 문제가 있다면 3바이트를 써서라도 한글의 품위를 손상하지 않도록 다시 표준을 정해야 할 것이다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
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역사의 무대에서 수수께끼처럼 사라졌던 멕시코의 고대문명. 찬란했던 그
문화
유적이 한창 발굴되고 있다. 한편으로 지진 등으로 파괴된 멕시코시티의 현대건 ... 관련학계에서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발굴·복원사업이 성공리에 이루어지면 인류의
문화
유산은 그만큼 풍요하여질 것이다 ... ...
PART3 성교육, 어디까지 다뤄야 하나?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오히려 좀 더 폭 넓게 성교육을 시킬 수 있다. 실제로 생물학적 심리학적 법적 역사적
문화
적 성지식을 가르치는데 공헌하고 있다.물론 성지식의 보급이 가정과 학교에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교회 각종 청소년기관 적십자사 가족계획협회 각종 클럽 도서관 박물관 등에서의 성교육 프로그램이 ... ...
한글
문화
에 알맞는 컴퓨터를 개발하자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기술에 맞추어야 하고 마침내는 예속되고 말 것이다 우리는 정보화사회를 우리 민족
문화
를 더욱 빛내고 계승한다는 민족자존의 차원에서 또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의 생산성을 제공한다는 현실적 필요성에서 추진해가야 한다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특유의 검은 비포장길을 먼지를 날리면서 약 30㎞ 올라가면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
문화
기구)가 지정한 '장백산 세계 자연보호 구역'이라고 쓴 대형 가로 시멘트판이 나타난다. '이곳부터 백두산인가 보다'하고 사슴처럼 목을 길게 빼어 보면, 백두산의 웅장한 자태는 보이지 않고 시야는 온통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