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습"(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왕 밝힌 김에 내 약점을 하나 더 알려 줄게. 난 모니터 밖의 세상을 보지도 듣지도 못해. 혼자서는 실제 바둑판에 돌을 올리기는커녕, 바둑판에 돌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도 모르지. ...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빨리 짝짓기를 해요. 그래서 아직 차가운 바람이 부는 2~3월에도 두꺼비들이 짝짓기하는 모습과 알을 함께 관찰할 수 있답니다. 이때 두꺼비는 반드시 자신이 태어난 물웅덩이로 돌아와 짝짓기를 해요. 이를 두꺼비의 ‘귀소본능’이라고 하지요.짝짓기를 끝낸 두꺼비들은 땅속으로 파고 들어가 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최시원, 꽃처럼 피었다 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교장 선생님 목소리다!”아니 글쎄, 교장 선생님이 비밀스러운 교장실에서 CCTV로 우리의 모습을 다 보고 계셨지 뭐예요.“민들레가 얼마나 사랑스러운 꽃인지 안다면 그런 헛소리는 하지 않을 텐데 말이지. 자네, 입학 한 달 만에 퇴학 당하는 주인공이 될 수도 있겠군!” 비주얼 과학 개념 ... ...
- Part 1. 뱀파이어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남보다는 내 주변 사람들이 많다.요즘은 뱀파이어가 좀 더 활동적이고 사람과 가까운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과 친해지고 심지어는 사랑에 빠져, 다른 뱀파이어에 대적할 만큼 로맨틱하기도 하다. 낮에도 사람처럼 다니기 위해 선글라스를 끼거나, 세상에서 사람과 공존하기 위해 ...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선과 원을 그리며 기하학의 원리를 스스로 찾아냈다. 우연히 파스칼의 아버지는 이 모습을 보게 됐다. 그 이후 자신의 생각이 잘못됐다는 점을 인정하며 파스칼에게 당시 최고 수학책인 유클리드의 을 건네줬다.“그게 제가 처음 본 수학책이었어요. 그 책을 본 이후 저는 다양한 발견을 하게 ...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제 아무리 위장술이 뛰어난 아놀도마뱀이라 하더라도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잠시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 아놀도마뱀은 부채 모양으로 활짝 펼칠 수 있는 새빨간 목주머니를 이용한다.이들은 영역을 침입한 다른 도마뱀을 보면 이 새빨간 목주머니를 펼쳤다가 접는다. 마치 신호등처럼 ‘멈춰 ... ...
- [기자단 소식] 일본 최고의 동물원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특유의 고약한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는 거예요. 심지어 아래쪽에서 하마가 수영하는 모습을 올려다볼 수 있을 정도로 수조의 물이 정말 투명했습니다. 제가 가 본 우리나라의 동물원들에서는 하마 우리가 너무나 더러워서 하마를 찾는 것조차 어려웠는데 말이죠.우리나라 동물원은 염소나 양에게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방 탈출 카페에 가본 적이 있는 기자는 서둘러 암호를 풀기 위해 팔을 허공에 휘젓는 모습을 상상했다.마지막으로 김 대표가 언제 가장 보람을 느끼는지 물었다. 그는 “우리가 만든 걸 보고 사람들이 기뻐하고, 즐거워할 때 에너지가 솟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그와 라온스퀘어가 만들 즐거운 ...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50km 떨어진 난센빙붕 끝부분이 두 개의 빙산(A, B)으로 쪼개져 북쪽으로 이동 중인 모습이 아리랑 5호 위성에 선명하게 포착됐다. 두께가 250~270m, 면적이 100km2에 달하는 빙산은 약 한 달간 총 457km(하루 평균 2.1km)를 이동했다(A 기준). 빙붕이 쪼개진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신약을 개발할 때 유리하다. 하지만 지카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광학현미경으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약 200nm)보다 크기가 작은 물체에 반사된 가시광선은 현미경 렌즈를 통과하며 보강·상쇄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구조생물학자는 이런 가시광선의 한계를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