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해"(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정 교수의 지론이다.또 다양한 학문 분야에 대해 머리와 마음을 열어둘 수 있는 개방성과 네트워킹이 현대 연구자들에게는 무엇보다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리화 난자 동결법도 사실 전자공학 연구자들과 대화를 하면서 도움을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청춘은 실패할 수 있다는 특권을 지녔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며. 그는 학생들에게 직업에 대해 “내가 좋아하는 일, 잘하는 일로도 얼마든지 직업을 가질 수 있다”며 “정말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다양한 기회가 있고, 선택의 폭이 넓다”며 “공부 잘해서 ... ...
- 직업은 열정을 갖고 꿈을 실현시키는 것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시간을 전혀 낼 수 없었어요. 전투에서 덜 치열한 격전지에서 전장을 내려다봐야 전략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을 텐데, 전 최전선에서 총 쏘기 바빴거든요. 자기계발을 할 여유가 전혀 없었지요.” 에디슨, 앨런 머스크가 롤 모델회사를 운영하는 것과 별도의 인생 목표가 있느냐는 질문에 조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학창시절에는 ‘수학의 쓰임새’에 대해 궁금했었는데, 막상 사회에 나와 맡겨진 업무를 처리할 때마다 사물을 관찰하고 논리적인 사고를 하는 습관이 큰 도움이 됐습니다.” 이렇게 밝힌 그는 “특히 요즘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시대”라고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다녀야 했던 아주 오랜 옛날부터 그랬다. 일생의 3분의 1을 잠을 자며 보내는 이유에 대해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연구해 왔지만, 그럴듯하게 정립된 이론은 아직까지 없었다. 생리학자들의 공통된 의견은 잠을 자는 동안 뇌가 기억을 정리하거나 우리 몸의 면역 활동이 정비되는 등, 깨어 있을 때와는 ... ...
- [hot science] 지구의 중력에 감사하라!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구 중력이 얼마나 소중한지 느끼는 것이지요. 그녀가 얼마나 중력에 대해 많이 공부했고, 고민했는지가 보입니다. 하늘을 바라보며 우주를 동경하는 요즘, 우주에 나가기전 중력이 얼마나 소중한지도 다시 한 번 돌아보는 것이 어떨까요 ... ...
- 소수를 쪼개면 우주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音(음)과 數(수)의 판타지’ 강연을 위해 잠시 한국을 방문한 김 교수를 만나 이에 대해 물었다.“소수와 기본입자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을 거라고 믿는 사람들을 배신하며 더 근원적으로 나눠졌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그 과정에서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는 차원을 한 단계 높여줬다는 점도 같고요.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없다고 한다. “저도 영어를 잘하고 싶어요. 그런데 사실 대학 졸업할 때까지 영어에 대해서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회사에서 일하면서 영어를 배웠습니다. 영어로 대화할 때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할 수 있는 자신감이 필요합니다. 하고 싶은 얘기를 또박또박 반복해서 하면 상대방이 이해를 ... ...
- 디자인으로 공간의 마음을 훔쳐라 (황지은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꾸는 연구다. 건축을 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건축 지식이 없는 사람도 건축물에 대해 이해하고, 나아가 서로 제대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이 두 가지는 건축 중에서도 가장 새로운 분야고, 그만큼 낯설다. 그렇다 보니 종종 황 교수의 작업은 때로 오해를 불러일으킨다. ‘도대체 ... ...
- 바다 소용돌이, 우주의 블랙홀과 닮았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거대한 고리 형태로 순환하는 소용돌이가 있는데,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소용돌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했다. 소용돌이의 정확한 경계를 알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연방공과대 비선형동역학과 조지 할러 교수팀은 물을 수송하는 소용돌이의 경계를 찾기 위해 남대서양에서 발견한 지름 15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