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방정식, 아름다운 자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변화’(공간상의 위치, 전기전하의 양음, 좌우, 시간의 방향 따위)에 대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성질로 정의된다. 물리학을 대략 정의하면, 우리가 실험실에서 측정할 수 있는 물리량들을 찾아서 이 물리량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밝히는 과학이라 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이 물리량들은 ... ...
식중독 단백질로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근육의 약화로 위에 음식물이 오래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결과적으로 생쥐의 체중은 3주 후 별다른 부작용 없이 14%가 감소했다. 그러나 70일이 지난 후에는 다시 식욕을 회복해 체중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이는 독소단백질의 활성이 상실됐기 때문으로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보여주는 시간을 현대인은 읽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
있는 앙부일구는 우리가 잃어버렸으면서도 깨닫지 못하는 시간을 가리키고 있다. 앙부일구의 그림자에서 자연의 시간을 읽을 줄 아는 사람, 그는 지금 우주를 읽고 있다 ... ...
비밀편지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탈수 작용이 있다. 수분을 잃은 종이는 구성 성분 중 수소와 산소를 잃으면서 탄소만
남아
레몬 즙이 묻었던 자리는 갈색으로 변한다. 농도가 진할 때는 까맣게도 보인다.종이에 질산칼륨용액으로 글을 쓰고 말린 다음 한 쪽 끝에 향불을 붙이면 질산칼륨이 묻은 자리는 도화선이 되면서 타 들어간다. ... ...
Ⅱ. 환자 개인별로 맞춤약 개발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어째서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달하고 있는 요즘에도 아직 이렇게 모호한 부분이 많이
남아
있을까? 생물학의 중요한 기본 개념인 중복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면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고등생물에는 한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가 여러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중복성). 또 한가지 유전자가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초반부터 서서히 태동하기 시작한 생물정보학은 오랫동안 별로 눈에 띄지 않는 분야로
남아
오다가 최근 들어 갑자기 큰 붐을 이루고 있다. 생물체와 이들이 이루는 생물계는 다른 무생물적인 대상에 비해 훨씬 더 '정보적'이다.하나의 생물체를 볼 때 DNA 속에 담겨진 정보에 의해서 다수의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은하라는 것이었다. 그것도 1백억년 전에 우리은하와 충돌해서 지금은 은하의 핵부분만
남아
있는 상태라는 것이다. 칠레에서의 관측을 주도했던 이수창 박사는 “2년여에 걸친 연구팀의 노력이 귀중한 열매를 맺는 순간이었다”고 술회했다.1차적인 자료 분석 결과 우선 성단 내의 별들은 20억년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하지만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내는데 어떤 염기들이 기능을 발휘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남아
있다(기능유전체학). 또 단백질이 어떤 과정을 거쳐 복잡한 생리현상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도 별도의 연구가 진행돼야 파악할 수 있다. 그래서 선진국에서는 이미 '프로테오믹스'(proteomics)라는 학문 분야가 ... ...
인간과의 전쟁 세계인구 60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바라보는 시각이 없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아직도 컵 속에는 물이 절반이나
남아
있다는 것. 어쩌면 과학기술에 의해 컵속의 물이 도로 채워질지도 모른다. 단적인 예로 현재 세계적으로 8억명의 인구가 굶주리고 있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4천만명이 줄어든 수치다. 이대로 노력한다면 2015년에는 ... ...
DDT를 개발한 노벨상 수상자가 몰랐던 것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비소와 납 계열의 살충제가 광범위하게 살포됐는데, 농작물과 토양에 다량의 독성물질이
남아
토양의 생산력이 오히려 떨어지고 인체에도 큰 피해를 끼쳤다.그러다가 1940년대를 거치면서 농작물과 인체에 피해를 덜 주는 새로운 살충제가 개발되기 시작했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이 우리도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