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9,20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학년도 수시 논술, 면접 마무리 전략
과학동아
l
201111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면접에서는 답을 먼저 이야기하고 정답일 경우 다른 문항으로
바로
넘어간다. 그러니 대기시간에 정답을 미리 구해야 한다. 다른 학교에 비해 문항이 많고 난이도가 높아서 체감 면접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따라서 자신 있는 문제부터 먼저 풀고 이것을 주어진 시간에 후회 ... ...
3악장 - 청중을 감동시켜라
과학동아
l
201111
아름다울 수가 있을까요. 그런데 이 곡이 특히 아름답게 들리는 곳은 따로 있어요.
바로
성당이나 사원이에요. 기회가 되시면 영국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명 연주자 브루노 발터가 지휘한 실황 녹음을 찾아 들어 보세요. 연주회장이나 녹음실에서 연주한 것과는 다른, 더 깊은 기분을 느낄 수 있을 ... ...
Part 3. 노벨 생리의학상 - “ 병원균이 침입했다” 경보기 발견
과학동아
l
201111
노벨상의 핵심이다. 미생물에는 병원균임을 알리는 단백질이 붙어 있다. 먹보 세포는
바로
이것을 감지한다. 먹보 세포에게는 TLR (톨 유사수용체)이라 불리는 ‘미생물 단백질 감지기’가 있기 때문이다. TLR이 미생물 단백질을 감지하면 선천성 면역계에 병원균이 들어왔다는 경보를 울린다.1989년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11
바이러스는 천연두 백신으로 100년 이상 사용해오던 바이러스다. ‘백신’이라는 이름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 사람들은 이 바이러스로 천연두를 예방했을 뿐 아니라 결국 가장 무서운 질병 중 하나였던 천연두를 종결시켰다. 필자는 이 바이러스가 인류를 암의 고통에서도 벗어나게 해 줄 도구라고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11
3층 높이의 거대로봇은 더 혁신적이다. 세 발로 걷는 이 로봇은 두 사람이 들고 다니며
바로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다. 전장에서 정찰, 감시 등의 임무를 맡을 수 있다. 홍 교수는 “로봇이 이동하는데 장애물을 피하는 게 골칫거리지만 키가 10m나 되면 이동 방식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장애물을 ... ...
유산균 5형제, 면역세포 길들이다
과학동아
l
201111
적을 찾는 방법을 익히기 위해 오랫동안 학교에 다닙니다.”면역세포의 학교는 쇄골
바로
밑에 있는 ‘흉선’이다. 사람이 태어나 청소년이 될 때까지 면역세포는 여기서 많은 미생물과 외부물질을 만난다. 면역세포는 이들의 표면을 배우고 익혀 딱 맞게 결합하는 수용체를 하나씩 만든다. 반대로 ... ...
‘구리실 반도체’ 더 작게, 더 빨리
과학동아
l
201111
낮다는 의미다. 지구에 있는 모든 물질 가운데 전기전도도가 가장 우수한 것이
바로
은이다. 하지만 은은 자기들끼리 결합하려는 특성이 있어서 구 형태로 뭉친다.반도체에 배선하려면 기판 위에 기다란 선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기판과 결합이 어려운 은 대신에 그 다음으로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11
도저히 생각할 수 없는 꽃향기와 똥냄새가 갖는 또 다른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냄새가 확산에 의해 퍼진다는 것이다. 확산이란 기체 분자들이 다른 기체나 액체 속으로 스스로 퍼져나가는 현상으로 분자가 불규칙한 형태로 운동한다. 그렇다면 분자는 왜 스스로 퍼져나가는 운동을 할까? ... ...
로마 콜로세움엔 왜 아치문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111
건축물을 지었다. 콜로세움처럼 큰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비밀은 어디에 있는 걸까?비밀은
바로
아치에 숨어 있다. 아치의 원리는 간단하다. 쐐기 모양의 홍예석을 반원 모양으로 쌓으면 돌들이 서로 밀어내 아치 위쪽의 무게가 아치를 거쳐 기둥으로 집중된다. 따라서 건물 전체의 무게가 기둥을 통해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11
답을 찾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이 많아야 공부가 즐거워집니다.
바로
여기에 행복과 성공으로 가는 길이 있습니다.다만 명심할 것은 영재성은 있다가도 없어질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영재로 판별됐다고 해서 오만해선 안 되는 이유지요. 영재성은 누구에게나 숨겨져 있다는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