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4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확산 수리모델 전문가들 그냥 놔두면 하루 확진자 1000명 훌쩍 넘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2
분석하는 전문가들은 이런 방역효과가 제대로 효과를 보지 못할 경우 이달 23일 하루
최대
1034명의 확진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대한수학회의 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TF)는 9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코로나19 확산 예측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 ...
‘비만 잡는 청경채’ 스마트팜에서 재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4.11
6주째에 가장 높았다. 일반적인 재배 여건에서 키웠을 때보다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은
최대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매니토바주립대는 KIST가 개발한 기능성 청경채를 이용해 원주민을 대상으로 조만간 임상시험을 진행해 대사성 질환에 대한 효과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시험 결과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과로를 통제하지 못했을 때
2021.04.10
제공 결국 중요한 것은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무엇(건강, 행복, 덕질 등)을
최대
화 할 수 있는 선에서 적당한 노력을 하는 것이 되겠다. 그렇다고 노력을 하지 말라는 얘기가 아니다. 어떤 목표에서든 노력의 수준이 ‘적당히’를 벗어나는 것이 곧 자기통제 실패라는 것, 따라서 부작용이 이득을 ... ...
화성 하늘에 뜨는 인류 첫 비행체 '인저뉴이티'...탐사 새 역사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9
인저뉴이티의 첫 비행 데이터를 공개할 예정이다. 첫 비행에 성공하면 인저뉴이티는
최대
화성 30일(지구에서는 31일)간 총 4차례 각기 다른 비행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각 비행 테스트는 고도 5m 내에서 90m 범위에서 이뤄진다. 인저뉴이티는 화성 대기 환경에서 비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 ...
도로 상태에 따라 모양 바꾸고 1t 무게도 견디는 '변신 바퀴'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민첩하게 주행할 수 있다. 반면 울퉁불퉁한 비포장도로에서는 폭이 줄고 지름이
최대
800mm까지 커진다. 지표면과 닿는 면적이 줄어들어 흔들리지 않고 빠르게 주행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바퀴의 모양이 바뀌어도 높은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종이접기 원리를 활용했다. 얇은 종이를 잘 접으면 ... ...
“코로나 확진자 3명 중 1명은 반년 내 뇌신경·정신질환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1.04.07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바이러스. 미국 MIT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감염되면 3명 중 1명은 감염 6개월 내 정신건강 질환이나 뇌신경 질환 진단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코로나19 확진자 23만6379명의 대규모 전자의무기록 ... ...
[랩큐멘터리] 6G 시대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6
매회 연구성과를 선보이며 수상하고 있다. 이 교수도 2016년 전기 및 전자기술 분야
최대
학술단체인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로부터 아태지역 젊은 연구자상을 받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IEEE 통신분과에서 젊은 연구자상을 받았다. 포스텍 무선통신 및 센싱 연구실 보러가기 https://youtu.be/pn_ofUDmWdc ... ...
해조류 먹은 소는 메탄 방귀 덜 뀐다
과학동아
l
2021.04.06
메탄 배출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소의 체중은 정상적으로 증가했지만 메탄 배출량은
최대
86.8% 감소했음을 확인했다. 해조류가 메탄을 만드는 박테리아 효소의 작용을 억제했기 때문이다. 소고기의 맛에도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현재 바다고리풀을 양식할 방법을 찾고 있다. 에르미아스 ... ...
박쥐 수명과 나이의 비밀 후성유전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21.04.06
평균 변화율이 작은 작은갈색박쥐(Myotis lucifugus)는 몸집이 같은 다른 동물보다 수명이
최대
6배 길었으며, 메틸화 패턴의 변화율이 큰 벨벳자유꼬리박쥐(Molossus molossus)는 몸집이 비슷한 다른 동물과 수명이 비슷했다. 연구팀은 이런 메틸화 패턴을 이용해 박쥐의 나이를 1년 이내의 오차로 정확히 ... ...
리튬이온전지 속 미세 구조물 간격 바꿔 이온 이동량 3.4배까지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일정 시간 안에 나노 다공성 막을 통과하는 이온의 양이 간격이 균일할 때의 이동량의
최대
3.4배가 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또 리튬이온전지 내부에 생기는 나뭇가지 모양의 결정인 '덴드라이트' 생성량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덴드라이트는 리튬이온전지의 내부 저항을 상승시켜 폭발의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