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뉴스
"
장치
"(으)로 총 4,4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연료전지 촉매 가격 10분의 1로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차세대 연료전지 촉매 개발은 물론이고 다양한 전기화학 응용
장치
의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성 부단장은 “현재 연료전지 가격의 40%를 차지하는 값비싼 백금 촉매 사용과 낮은 내구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한 ... ...
2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충훈 위원·이근백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폐수 처리 효율이 20% 늘어난데다 사용되는 약품의 양도 줄어 환경 오염도 줄인다.
장치
의 크기도 기존 장비보다 크게 줄어 기존 방식보다 설치 공간이 3분의 2에 불과하다. 과기정통부는 환경기계의 유지비용을 절감해 환경산업 성장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이 대표는 ... ...
한국 세계 첫 '초소형 위성용 영상레이더' 개발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유지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SAR를 탑재한 위성의 무게를 100㎏대로 줄이는 게 목표다. SAR
장치
를 실을 위성체 개발, 초소형 광학위성과 SAR위성을 연계한 위성군 운용 기술, 영상의 해상도를 높이고 물체의 판독을 돕는 인공지능(AI) 기술도 함께 연구된다. 박상영 연세대 ... ...
[주말N수학] 세기의 난제 '짐 쌓기'
수학동아
l
2019.02.09
게티이미지뱅크 이상운 강릉원주대 멀티미디어공학과 교수는 “여러 개의 중앙처리
장치
(CPU)를 이용한 컴퓨터 계산을 할 때도 작업 일정을 분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관련기사 : 수학동아 2월호 Part 3. 세기의 난제 ‘짐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이종호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받았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지닌 화학 에너지를 곧바로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장치
다. 화석연료나 원자력 에너지를 이용한 기존 발전은 화학 또는 원자력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꾼 뒤 이를 이용해 증기를 발생시키고 다시 증기로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해 효율이 낮다. 반면 연료전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미국 미시건주립대 교수는 이리듐 같은 전이금속이 태양 전지를 위한 새로운 집광
장치
를 만드는 데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했다. 에릭 쉘터 미국 펜실베니아대 교수팀은 현대 과학기술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지구의 희귀원소에 대한 연구 현황을 소개했다 ... ...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크게 다르지 않으나 훨씬 정밀하다. 로버의 움직임을 도울 뿐 과학 연구에 직접 쓰는
장치
는 아니다. 연구팀은 RIMU의 가속도계가 측정하는 화성 중력값을 분석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중력은 물체가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이다. 사람이 지구에서 멀어진다면 지구 중심과 거리가 멀어지며 중력도 ... ...
안정성 높고 잘 휘는 니켈 기반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소자와 차량용 히터, 스포츠 고글, 스마트 글래스와 같은 다양한 웨어러블
장치
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을 받았으며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11일자에 게재됐다.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신화 올해도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가장 획기적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도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오작동에 대한 보호
장치
가 없어 엉뚱한 DNA를 잘라내거나 너무 제한된 유전자 범위를 잘라낼 가능성이다.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은 2019년 주목해야 할 기술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 ...
쌀알만한 군집 센서로 입체 영상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2
드론에 많이 이용되지만, 크기가 컸다. 또 2차원 센서를 움직여 3차원 정보를 얻는 기계식
장치
다 보니 고장 가능성도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라이다 기술인 OPA를 이용해 기존 라이다의 한계를 해결했다. OPA는 빛의 간섭 원리를 이용해, 기계식으로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