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뉴스
"
결정
"(으)로 총 7,514건 검색되었습니다.
34년전 프레온가스 퇴출
결정
이 기후변화 대응시간 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몬트리올 의정서가 채택되며 프레온가스 사용이 금지됐다. 사진은 버려진 프레온가스 용기들. 유엔 제공 지난 2010년 1월 1일 국내에서 에어컨 냉매인 프레온가스(CFC)의 사용이 전면 금지됐다. 프레온 가스는 냉장고의 냉매로 사용하던 아황산 가스나 암모니아 같은 위험물질을 대체하며 한때 독성 ... ...
[표지로 읽는 과학]얽히고설킨 단백질 구조를 수 분만에 예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2
어떤 입체 구조를 띠고 있을지 예측한다. 이런 과정을 반복하고 압축하면서 최종적으로
결정
한다. 학계에서는 정확도는 알파폴드가 앞서지만 단백질 간의 결합 형태와 특징을 분석하는 수준은 로제타폴드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 아미노산 서열만 보고도 단백질의 입체 구조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1
여성의 가임 가능 기간을 예측하고 시험관 아기 시술과 같은 수단을 활용하는 시기를
결정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평가다. 여성은 태어날 때부터 난소에서 난자를 만들어내는 난모세포를 약 100만개 정도 갖고 있다. 난모세포는 적정 연령이 되면 난자로 성숙해 배란기에 방출된다. 방출된 난자가 ... ...
[인터뷰]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과학동아
l
2021.08.21
기술을 개발하면 쉬워진다. 이처럼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의 속도는 여러 분야의 협력이
결정
할 것이다. 연구자로서 자율주행차 기술의 실현은 우주에 가는 것보다 어렵다고 생각한다. 역설적으로 많은 공학자들은 그러기에 재미를 느끼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 기대해 달라. Q. 자율주행차가 ... ...
[우주산업 리포트]미 하원 지한파 소토 의원 "한미 우주 정상회담 필요해"
2021.08.20
않았는데? A. 미국 정부와 NASA, 미 의회가 해결할 일이다. 한미 우주 정상회담을 개최해
결정
하는 방법도 있다. 정상회담은 한국의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 될 것이다. Q. 지역구에 NASA의 시설과 우주기업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안다. 한국시장에 관심을 보인 기업이 있나? A. 한국과 ... ...
코로나19 신규 확진 2052명…백신인센티브 적용·영업시간 제한 강화한 거리두기 2주 연장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현행 오후 10시에서 9시로 1시간 단축한다. 정부는 사적 모임 인원 제한도 2주 연장을
결정
했지만, 백신 접종 완료자에 대해서는 식당·카페 이용 시 4인까지 모일 수 있는 인센티브를 적용하기로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0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052명이라고 밝혔다. ... ...
람다 변이는 '제2의 델타 변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수 있는 방법은 백신 접종”이라고 말했다. WHO는 람다 변이를 우려 변이로 격상해야 할지
결정
하기 위해 람다 변이를 조사 중이다. 그레고리 폴란드 메이요클리닉 백신연구책임자 겸 교수는 “변이 바이러스는 계속 나타날 것이고, 이런 변이 가운데 하나 이상은 백신의 면역을 회피하는 데 ... ...
미국 "9월부터 부스터샷 접종"
결정
…WHO "구명조끼 없는 사람 익사시킬 것" 비판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더욱 강하게 거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 차원에서 부스터샷 접종을
결정
한 나라는 미국이 이스라엘에 이어 두 번째다. 이스라엘은 델타 변이 통제를 이유로 이미 50세 이상 국민에게 부스터샷을 접종하고 있다. 유럽도 백신 개발 업체들과 부스터샷 접종을 논의하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에스엠랩, 니켈 함량 98% 끌어올린 양극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양극재 개발은 처음 보고됐다. 배터리 용량은 높이면서도 상용 양극재와 달리 단
결정
형태로 양극재를 만들고 세라믹 계열의 코팅 물질을 새로 적용해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했다. ■ 김경민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모트 전이 반도체의 확률 거동을 이용한 진성 난수 생성기 개발에 ... ...
배경 따라 몸 색깔 바꾸는 카멜레온 로봇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인공 피부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카멜레온은 피부에 힘을 가하면 피부 맨 위 색소
결정
의 격자구조가 바뀌며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해 몸 색을 바꾼다. 연구팀은 폴리머 필름과 온도에 반응하는 액정잉크, 다양한 패턴을 가진 은나노선 히터를 기반으로 카멜레온처럼 색을 바꾸는 은폐소자를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