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빚은 조각 보석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커트 등 어떤 모양으로 조각할지 결정했으면 원석에서 가장 큰 보석이 나오도록
위
치와 방향을 잘 맞춰야 합니다.보석계 알뜰 살림꾼, 최적화 이론이렇게 정해진 조건 안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를 수학에서는 ‘최적화 문제’라고 합니다.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 ... ...
[Future]
위
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18년까지 500km 상공의 우주궤도에서 지상과 양자통신을 시도한다. 판젠웨이 양자과학실험
위
성 수석과학자는 당시 JTBC와의 인터뷰에서 “빛의 80%가 대기를 통과할 수 있어 수 천 km까지 전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무적의 ... ...
[Photo] 우주는 사랑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강의 모습을 담은 파노라마 사진이다.초록빛 오로라가 얼어붙은 강 건너편의 숲
위
로 넘실대는 모습이 달빛과 어우러져 환상적인 모습을 연출한다. 편집자주 ‘사랑의 결실’은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5회 천체사진공모전의 심우주 부문 은상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
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좋다.채집한 입자는 현미경 관찰 전에 입자표면의 또 다른 작은 먼지들을 제거하기
위
해 세척을 해야 한다. 물보다는 알콜로 세척해서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한다.이제 입자들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보자. 찾고 있는 우주먼지 입자는 대부분 구형이다. 완벽한 구형이거나 일부분이 솟아있는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집단 선택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셨나요?” 집단 선택? 이타적 행동은 종을 보존하기
위
해 진화했다는 집단 선택론과 평생을 맞서 싸워 온 장본인인 해밀턴 앞에서 지금 집단 선택을 입에 올리는 건가? 집단 선택 같은 낡은 유물은 이제 잘 포장해서 박물관으로 보내버려야 하지 않나? 해밀턴은 즉시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
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있다”며 “메틸화 정도로 개인의 기대수명을 예측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등 활용 범
위
가 넓을 것”이라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016/S0140-6736(16)32381-92) doi:10.1186/gb-2013-14-10-r1153) doi:10.18632/aging.101020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
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뉴질랜드 남서쪽의 ‘코에코헤 해변’에 가면 재미있는 풍경이 펼쳐져요. 바닷가를 따라 거북이 등딱지 같은 동글동글한 물체가 늘어서 있거든요. 게임 ‘포켓몬 ... 때문이에요. 이후 파도에 의해 깎이고 갈라지며 결핵체들이 떨어져나온 결과, 지금의 모에라키 바
위
들이 생겨났답니다 ... ...
[공룡은 왜?] 크기는 작아도 부화 기간은 길다?! 공룡의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우연히 외부 물체를 삼키면,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
해 이 물체를 다른 장기로 보내지 않고
위
에 머물게 해요. 그러다 동물들이 토하는 과정에서 다시 밖으로 나오지요. 보통 1~6cm 정도의 둥근 돌 모양이기 때문에 알처럼 보인답니다. 또 곤충이 살던 굴이나 집, 번식 공간은 물론 일반 돌들도 공룡알과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평면
위
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으로 굽은 상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지요. 이 선들이 ‘쌍곡선’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자어를 보면 알 수 있어요.‘쌍(雙)’은 새를 뜻하는 ‘새 추(隹)’ 두 개와 오른손을 ... ...
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5호
2. 지하 도시 도시 아래에 산다Part 3. 지하 도시 만드는 두 가지 비밀!Part 4. 해상도시 바다
위
에 도시가 둥둥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Part 6. 미래를 꿈꾸는 우주 도시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