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해도 분명 이야기를 진행하기 위한 허구가 있는 SF영화다. 항성간 여행을 하는 우주선과 우주에 임시 거주지를 만들 정도로 기술이 발달했다면 지구를 살기 좋은 곳으로 개조하는 것이 더 쉬울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화는 영화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영화가 품고 있는 현대 물리의 현장을 눈으로 ... ...
- [과학뉴스] GPS 위성으로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무거운 암흑물질 주변에서도 빛이 휘고 시간이 천천히 흐를 것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우주의 암흑물질은 때때로 지구를 스쳐 간다. 따라서 연구팀은 암흑물질이 지구를 스칠 때 주변에 시간이 느리게 가는 현상이 벌어지고, 지구 주위에 떠있는 수많은 GPS 위성에 설치된 원자시계에서도 이런 ...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추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거예요. 로제타석이 이집트 문명의 비밀을 풀어주었듯, 우주의 비밀스런 암호를 풀어줄 단서를 발견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과학자들은 저에게 로제타라는 이름을 붙였죠. 이제 이름값을 할까 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PART1.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나오는 가루가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우주에선 연필을 사용하지 않아요. 게다가 우주볼펜은 피셔라는 업체가 개발한 것이지요. 이 볼펜을 미국은 물론 러시아도 사용한답니다.모세관으로 쓰는 만년필잉크가 술술 나와서 볼펜보다 부드럽게 쓸 수 있는 만년필로 공부하는 건 어때! 만년필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는 ‘1999JU3’ 소행성에서 시료를 채취해 2020년 귀환할 예정이다. 영화에서나 보던 우주 자원전쟁이 본격적으로 막이 올랐다는 걸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소행성궤도변경 임무는 그 서막에 불과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스페이스 임파서블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BRIDGE. 로제타, ... ...
- [과학뉴스] 700km 상공에서도 보이는 인간의 흔적과학동아 l2014년 12호
- 같기도 하고 원형그래프 같기도 한 이 사진은 도대체 무엇일까. 올해 7월 3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 랜드샛 8호(LCDM)가 촬영한, 뉴질랜드 북섬 타라나키 산이다(흰 부분). 그 주변의 짙은 녹색 부분은 에그몬트 국립공원으로 보존돼 온 지역이고, 옅은 녹색 부분은 한때 목초지로 개발됐던 ... ...
- [과학뉴스] 민간우주여행 앞날은 과연?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실험비행에서 추락 사고를 일으켰다. 조종사 1명이 사고로 사망하는 등 사상자가 발생해 당분간 민간우주여행이 찬물을 맞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안 그래도 비싼 가격 때문에 부자들을 대상으로 한 사업일 뿐이라는 비판이 있는데, 과연 어떻게 될까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지금은 소행성 가운데 태양계 바깥으로 밀려난 걸 혜성이라고 보기도 하죠. 일본의 우주탐사선 하야부사는 지구 근처에 있는 소행성을 채취했습니다. 운석이 소행성에서 왔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최초로 확인했죠.우리나라에서도 올해 운석이 매우 뜨거운 논쟁거리였습니다. 진주운석 말이에요. ...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슬람 사람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복잡한 세상 뒤에 신이 창조했던 아름답고 간결한 우주의 질서와 조화의 원리가 숨어 있다고 믿었어요. 그 질서와 조화의 원리를 찾기 위해 이슬람의 학자들은 일찍부터 유클리드, 피타고라스, 브라마굽타와 같은 고대 수학자의 저서를 아랍어로 번역해 읽으며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사용한다면, 원자 10만 개를 기술하기 위해 숫자가 10100000개나 필요하게 된다. 이 수는 우주전체 원자의 개수보다 크다. 쓰는 것 조차 불가능하다는 뜻이다.광합성과 철새의 양자생물학생물학자는 분자를 마치 거시세계의 축구공처럼 다룬다. 꼭 필요한 부분에만 양자역학 개념을 사용할 뿐이다.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