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하기
여름철
d라이브러리
"
여름
"(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어둠 사이의 경계에 있었으며 매일 매일 아침 저녁으로 방심하지 않고 태양을 감시했다.
여름
이 오면 태양은 그들의 힘을 이기고 올라오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낮은 길어진다. 그러나 겨울이 와서 태양이 그들이 통제하는 영역, 전갈자리 염소자리 그리고 어둠의 별자리를 지날 때 낮은 짧아지고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함유된
여름
화장품과는 달리 겨울화장품은 유분함량이 높다. 4계절화장품은 겨울용과
여름
용의 중간정도의 성분비율을 나타낸다.요즈음 거의 생산이 중단된 상태이지만 불과 2년 전만 해도 순금화장품의 잠재시장이 연 2백억원 규모는 족히 될 것으로 여겨졌다. 과소비 비난여론에 밀려 이제 별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곰의 뼈만드는 세포(osteoblast)는 곰이 훨씬 더 많이 움직이는
여름
철의 뼈 성장률과 같은 속도로 뼈를 성장시키고 있었다. 뼈 골격의 한 부분에서 분해되어 흘러나오는 칼슘은 확실히 다른 곳의 새 뼈를 성장시키는 데 사용됐다.연구원들은 동면중인 곰의 혈액에는 뼈의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별자리이다. 워낙 긴 별자리여서 머리는 이미 2월의 초저녁에 보이기 시작하며, 꼬리는
여름
의 대표적 별자리인 전갈자리 근처까지 뻗어 있다. 그러나 밝은 별이 거의 없고 보이는 위치가 지평선 위에서 별로 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없다면 자칫 지나치기 쉬운 별자리이기도 하다 ... ...
한국국제과학올림피아드 위원장 권원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표선수의 5~8배수로 1차 선발합니다. 국내대회에서 선발된 학생들은 계절학교(
여름
겨울방학을 이용)를 통해 일정 장소에서 합숙훈련을 하고, 이를 이수한 학생은 계속해서 통신을 이용한 통신 교육과 그 학생이 소속된 학교의 지도교사에 의한 별도 교육을 받습니다.이렇게 각 과정을 이수한 ... ...
컬러인쇄 가능한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추가됐다.한컴퓨터연구소의 강태진소장(34)은 "몇가지 기능개선이 이뤄졌지만 이번
여름
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강조한 2.0판을 내놓을 계획이어서 기존 사용자들에게는 그때까지 기다려 달라고 하고 있다"고 말한다.사임당은 발매된 이래 지금까지 약 4만카피 팔렸다. 컴퓨터환경은 IBM AT기종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때때로 행성들을 가리기도 한다는 사실을 참고로 알아 두자.세째 오리온(Orion)자리는 초
여름
에 보이지 않는다. 오리온 자리는 유명한 겨울철 별자리다. 이와 비슷한 예로 알퐁스 도데의 유명한 단편 '별'에는 그 계절에 알프스 지방에서 보이지 않는 별 시리우스(Sirius, 유명한 겨울철의 별자리인 큰개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세계 최대 망원경으로 알려진 팔로마산 헤일망원경이 된다"고 설명하는 이만성씨는 올
여름
내로 두 가지 작품의 개량형을 완성할 예정. 이 작품이 완성된다면 막스토브의 '마지막 제너레이션'이 탄생하는 셈이다. 1만3천달러의 가격으로 국내 대학에 들어와 있는 7인치 막스토브와 성능 비교도 해볼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상기하면 (그림2)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전혀 없으리라고 본다. 이제 적도 지방에서는
여름
날 그림자가 남쪽으로 향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을 것이다.(그림2)에서 아주 착각하기 쉬운 것이 하나 있다. 적도 지방에서는 춘추분 하지 동지 중 어느때가 낮이 가장 길까 생각해 보자. 춘추분 때라고 답하는 ... ...
폐차의 플라스틱 40% 다시 사용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폭스바겐도 아직 부품을 재설계하기보다 사용 재료의 수를 줄이는데 노력한다. 지난해
여름
이후 생산되는 폭스바겐의 차종에는 플라스틱연료탱크의 부품수가 11개 줄었다.플라스틱이 여전히 두통거리임에는 변함없다. 자동차에는 보통 1백㎏의 플라스틱이 사용되지만 폭스바겐의 재활용률은 30~40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