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스도쿠 해결사를 만들어라!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수를 줄여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기본적으로 스도쿠는 정답이 1개여야 하는데, 답이 여러 개인 경우도 있다. 답이 반드시 하나려면 몇 개의 숫자를 미리 알려줘야 할까? 2012년 호주 수학자 개리 맥과이어가 이끄는 연구팀은 81칸에 최소 17개 숫자가 공개돼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 ...
- 김민철 경기과학고 영재선발부장 - “미래 노벨상 꿈꾸는 인재 찾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자기 주도성, 친구와의 협동 능력, 과제 집착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다”며 “여러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학생을 관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재성 캠프에서 유념해야 할 사항으로 김 부장은 일관성을 강조했다. 김 부장은 “처음에는 모두 열심히 캠프에 임하지만, 어느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우주군이 활동하는 시대에는 우주를 마음대로 활보하고 다닐 수 있을까. 우주공간은 지상과 달리 공기가 없어서 비행체가 공기 저항을 받지 않고 빠르게 날 수 ... 우주까지 가는 방식이다. 극초음속 비행을 가능하게 해 줄 엔진으로 이 두 방안이 현재 여러 나라에서 연구 개발 중에 있다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진화 과정에서 점점 커졌지만, 안면부는 정반대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도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음식의 변화다. 다니엘 리버만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교수는 음식의 종류와 요리법에 의해 씹는 횟수가 줄었고, 그로 인해 턱의 근육과 치아 크기가 줄었을 거라는 연구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점을 찍어놓고 점들끼리 선분으로 잇는다고 상상해보라. 그래서 뇌과학자들은 뇌의 여러 영역 중에서도 특별한 대상이나 공간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기억하거나, 중요한 기억을 오랫동안 머릿속에 남게 하는 ‘기억 강화(consolidation)’ 과정에 관여하는 해마에 주목한다. 오랫동안 이 분야를 연구한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불리는 기관 역시 쥐의 췌장 세포에서는 그 수가 더 많고 크기도 컸습니다. 핵소체는 여러 가지 기능이 있지만, 세포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요소들을 제공해 주는 기관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정리하면 쥐의 경우 DNA 양이 늘어나고, 그에 맞춰 핵의 크기도 늘어나고, 더불어 단백질까지 ... ...
- In My Life 누가 작곡했을까?수학동아 l2018년 10호
- 본 것이다. 연구팀은 작곡자가 확실하게 알려진 레넌과 매카트니의 곡 70개와 비틀즈 곡 여러 군데서 발췌한 부분에서 총 149개의 음악적 특징을 뽑아내 통계 모형을 만들었다. 여기서 음악적 특징이란 곡에서 으뜸화음이 몇 번 쓰였는지, 멜로디가 한 옥타브 이상으로 음이 바뀌는 경우는 얼마나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자원을 경영·경제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분야다. 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산업은 여러 기술과 자원을 동원해 공장이 아닌 광산이나 유전 등에서 광물과 석유 등을 채취하는 일종의 운영업”이라며 “현장을 운영하고 국제시장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경영학과 경제학을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0] 학업역량, 어떻게 기르고 표현할까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교과 이수 내용교과 성적이 등급뿐만 아니라 표준편차, 과목 평균, 이수자 수 등 여러 항목을 토대로 정성적으로 평가된다는 점은 지난 5월호에서 다뤘다. 하지만 성적과 상관없이 특정 과목을 이수한 것만으로도 학생의 학업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위 학생은 국어에서 1등급을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많은 생물이 살고 있지. 아파트 숲은 작은 국립공원!도시공원에는 식물, 곤충, 새 등 여러 생물 종이 작은 생태계를 이루며 살고 있어요. 2010년 서울시의 조사 결과 청계산, 아차산 등 서울시내의 도시숲에는 삵이나 말똥가리, 소쩍새, 새매 등 희귀동물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 한편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