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아"(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실수가 승부를 가른 고누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먼저 신라의 김유신과 고구려의 연개소문이 호박고누 대결에 나선다. 김유신은 당대에 확보한 강원도와 함경도 남부 지역을, 연개소문은 기분이 썩 내키지는 않지만 함경도 중부부터 북부까지를 걸고 실력을 겨룬다. 누가 자신의 영토를 넓힐 것인가?신라 김유신 vs 고구려 연개소문의 고누 한판“ ... ...
- 공주는 왜 해적이 됐을까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바르바리 해적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탈출 계획을 세운 허풍과 도형. 하지만 하메드, 아니 하디시 공주가 도망치지 않겠다고 한다. 공주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1 하디시 공주의 경호원“도형아, 사람이란 말이다. 누구에게나 말 못할 사연이 있는 거란다. 공주도 마찬가지야. 우리라도 여기서 도 ... ...
- Part1. 왜지구 공학인가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사회자 친애하는 각국의 환경장관 여러분, 2주간 진행된 회의도 이제 막바지에 이르고 있습니다. 지난 16차 회의에서 우리는 개발도상국들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선진국이 10년간, 매년 1000억 달러씩 기금(녹색기후 기금)을 모으기로 합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제 이 재원을 어떻게 마련 ...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수학자이자 사회네트워크 분석가인 발디스 크렙스는 테러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인물 중 하나다. 테러를 저질러서가 아니라 테러범을 분석했기 때문이다. 현재 악명 높은 테러범이나 테러 혐의자 중 그보다 유명한 사람은 오사마 빈 라덴 정도다. 크랩스는 1985년 캘리포니아에 있는 자신의 마을 ...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당신은 공군 전투기 편대장이다. 전투기 3대로 정찰을 나갔다가 아군기와 성능이 비슷한 적 전투기 5대와 맞닥뜨렸다. 이때 당신은 어떤 판단을 내려야 할까. 임전무퇴의 정신을 발휘할 생각은 버리고 ‘무조건’ 달아나야한다. 싸운다면 적기 한 대를 격추하는 동안 아군기 3대가 모두 전멸할 것이 ...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독일 낭만주의 작가 노발리스의 소설 ‘푸른 꽃’에는 전설속의 푸른 꽃을 찾아 여행을 떠나는 주인공이 나온다. 긴 방황 끝에 자연의 경이로움을 찬미하는 시인이 된 주인공. 작가의 자전적인 성격이 짙은 이 소설은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대상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가득하다.200년 전 독일 청년 ...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 본 기사는 2월 15일 이후부터 과학동아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DS)에서 동영상 강의로 보실 수 있습니다. 미생물은 도처에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동반자로 보기에는 그 양이 너무 많다. 양으로 따지면 우리가 미생물의 세계에 기생하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은 대부분 ... ...
- 즐거운 땡땡이, 일 더 잘하게 해 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일을 하는 중에 머리를 식히기 위해 즐거운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보는 것이 일을 더 잘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의 루비 내들러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 즐겁거나 슬프거나 중립적인 음악을 들려주거나 영상을 보여 ... ...
- Part 1. 수학천재 H군, 올림피아드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허각이 슈퍼스타K2를 만나지 못했다면? 재능있는 자의 가슴을 뜨겁게 만드는 곳, 그 열정을 인정해 주는 사람이 있을 때에 스타가 탄생한다. 여기 한 천재의 가슴을 뛰게 한 소중한 만남을 소개한다.“아빠, 문제 하나 내주세요.” 5살 난 H군은 아침부터 아버지에게 졸라대기 시작했다.“1 나누기 7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초고체(supersolid)가 다이아몬드보다도 단단한 고체냐고 물어보는 분들도 있더군요.”초고체 연구로 최근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39세)는 연구실을 찾은 기자가 “초고체라는 이름이 잘못 붙여진 것 같다”고 말하자 사실 좀 문제가 있다고 대답했다. ‘초유체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