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긴 시간 기다려야 하지만 식초를 이용하면 장점이 있다. 염산은 산성이 강해 짧은 시간만
반응
시켜도 단백질이 응고돼 흰자가 하얗게 변한다. 하지만 식초를 이용하면 투명하게 비치는 누드달걀이 만들어진다.식초는 아세트산(CH3COOH)수용액이다. 슈퍼마켓에서 2배 식초를 판매하는데 이를 이용하면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각한다. 달팽이관에 있는 유모세포는 피아노 건반처럼 소리의 진동수에 따라 차례대로
반응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분류된 정보는 측두엽의 청각피질에서 처리된다. 청각피질 역시 특정 진동수를 처리하는 영역이 독립적으로 분포한다. 음높이 정보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이다.음 사이의 ... ...
정서 보듬는 음악의 세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우리는 음악을 근육으로 듣는다’라고 썼듯, 음악에는 신경과 근육, 호르몬까지
반응
한다. 음악은 다양한 신경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에게 치료 효과를 내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도 마음을 안정시키거나 슬픔을 물리칠 때 효력을 발휘하기도 한다. 음악을 빼놓고서는 살 수 없다는 말은 곧 ... ...
천하무적 슈퍼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고효율 약효 검색 시스템’(HTS)을 이용하면 수백 가지 화합물을 한꺼번에 분석해 표적과
반응
하는 화합물을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만일 가상세포에서 표적으로 예측한 유전자나 효소의 3차원 구조와 물리·화학적 특성이 알려져 있다면 슈퍼항생제를 쉽게 만들 수 있다.항생제를 생산하는 미생물의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말했다.MIT 라이벌 그룹에 거둔 소중한 1승권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자마자 즉각
반응
이 왔다. 미국 MIT의 패트릭 도일 교수가 권 교수에게 e메일을 보냈다. 도일 교수는 유체관 안에서 미세 입자 합성을 연구하는 세계적인 전문가다. 이미 ‘네이처 머티리얼스’ ‘사이언스’ 같은 유명한 ... ...
[화학]가스하이드레이트의 치환
반응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같다. 두
반응
을 합하면 물이 자동으로 이온화되므로 전체
반응
의 평형상수(Kw)는 두
반응
의 평형상수 곱이다. 물의 이온곱상수는 온도에 따라서만 변하므로 일정한 온도에서는 짝산의 Ka만 주어지더라도 짝염기의 Kb값을 알 수 있다. 전문가 클리닉 이번 문제는 약한 산과 강한 염기의 중화 적정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0.03g의 중수소로 휘발유 300L에 맞먹는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며 “핵융합
반응
을 일으키려면 초고온 플라스마를 한 곳에서 오랫동안 붙잡아 두는 일이 관건”이라고 말했다.하지만 1억℃가 넘는 플라스마를 어디다 담는단 말인가. 태양은 엄청난 중력으로 플라스마를 잡아 두지만, 지구는 ... ...
실험장치 내부온도 100℃로 맞춰라!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주 전원스위치를 내린 모양이었다.하는 수 없이 실험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반응
시간을 다시 계산한 뒤, 분 단위로 빡빡하게 짜여진 실험 일정을 수정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새로 만든 시간표대로 무사히 실험을 끝마쳤다.지구로 귀환한 뒤 실험 결과가 제대로 나왔는지 ... ...
[유전학]쌍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알려진 땀은 사실 그 자체로는 냄새가 없다. 하지만 피부에 사는 박테리아가 땀과 화학
반응
을 하며 특이한 냄새를 발생시킨다. 체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은 대부분 카르복실산 계열의 물질로 지금까지 적어도 24가지가 알려졌지만, 여기에 유전적 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된 적은 없었다 ... ...
“햅틱으로 글씨 쓰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움직임이나 진동을 전달해서 느끼고
반응
하게 하는‘햅틱’기술을 이용해 시각장애인이 글씨 쓰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영국 글래스고대학의 스티븐 브루스터 교수팀은 시각장애 어린이 8명을 대상으로 햅틱 장비를 이용해 글씨 쓰는 방법을 가르칠 수 있는지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