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1933년과 1935년에 각각 드라이아이스를 공기 중에 뿌려주면 안개 속 입자들이 빙정이 돼
땅
으로 떨어진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증명했다. 한편 1938년 미국 MIT의 휴그톤은 옷장 속에 넣어두는 습기제거제의 성분인 염화칼슘을 이용해 안개를 제거하는 실험을 수행했다.이처럼 초기 안개소산 기술은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뜨겁고 밤에는 추워 죽을 지경이었다. 하늘의 천지왕은 혼란스런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땅
에 내려왔고, 지상의 여인과 혼인을 한 후 아들 쌍둥이를 얻었다. 형은 대별왕, 동생은 소별왕이라고 했다.대별왕과 소별왕은 힘을 합쳐 세상의 혼란을 막기 위해 천근 같은 활과 화살을 준비했다. 형인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서있는 사람은 안전하다. 하강기류의 물방울들이 상당한 양의 마이크로파를 흡수해서
땅
에 도달하는 양은 굉장히 미약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만약 폭풍과 마이크로파 빔 사이를 비행기가 지나간다면 어떻게 될까. 이 문제는 마이크로파 빔을 쏘아주는 우주태양광발전소의 레이더가 이를 탐지해 ... ...
중금속 사냥에 나선 유전자변형 포플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자치단체의 지원없이는 보급이 쉽지 않을 것이다. 숲을 조성할 토지가 있어야 하는데
땅
값이 비싼 우리나라의 경우 만만치 않은 일이다. 또 나무는 겨울이면 성장을 거의 멈추기 때문에 폐수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다른 방법으로 처리해야 한다.선진국에서는 정부가 나서 국민들에게 이 분야를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너덜지대의 돌은 크기가 주로 1m 이하인 것이 대부분이다. 돌강의 돌은 고온다습한
땅
속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주로 둥근 형태다. 이에 비해 너덜지대의 경우 지면에 노출돼 있던 돌에 한랭건조한 상태에서 수분이 스며들어가 언 다음 부서졌기 때문에 각져 있다. 즉 어떤 기후조건에서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논병아리는 다리가 몸 뒤쪽에 있기 때문에 깊은 물에서 헤엄치기에 좋으나
땅
위에서는 뒤뚱뒤뚱 우스꽝스럽게 걷는다. 이는 물닭도 마찬가지. 이마가 흰 것이 특징인 물닭은 몸 전체가 진한 검은색이다. 논병아리와 물닭은 잠수해서 먹이를 잡기도 한다.탐사팀은 근처 정자로 이동했다. 이곳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한다.그는 여름까지 냉기가 지속되는 이유는 ‘
땅
이 숨을 쉬기 때문’이라고 표현했다.
땅
이 숨쉰다는 말은 봄철 주기적으로 상공을 지나가는 한랭한 대기를 얼음골의 대지가 숨을 쉬듯 받아들인다는 의미다. 이에 대한 증거로는 봄철 여러 차례 나타나는 연속적인 저온 현상이라고 한다.아직까지 ... ...
석유 탐사 장치가 암진단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실험하고 있다. 오만의 사막지대를 구획별로 나눠 에탄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땅
밑에 석유가 묻혀 있다면 소량일지라도 에탄이 흘러나올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만일 이 방법이 성공할 경우 탐사에 드는 비용을 크게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에탄 센서의 성능에 고무된 파제트 교수는 ... ...
오염물질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갯벌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사업 반대측에서는 갯벌을 간척하는 일은 돈을 들여 소중한 자원을 가치가 낮은
땅
으로 만드는 일과 같다고 말한다.1997년 미국 메릴랜드대 코스탄자 교수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 생태계 면적의 0.3%에 불과한 갯벌은 전체 생태계의 5%에 해당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지구의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그 씨앗도 발아하지 못한다. 하지만 통보리사초의 줄기는
땅
속을 기어가면서 자라
땅
속줄기(지하경)라고 불린다. 때문에 지표 가까이까지 생장점을 이동시켜 모래가 덮여도 계속 생존할 수 있다. 60cm 정도 쌓인 모래까지는 거뜬하게 뚫고 싹을 틔울 수 있다고 하니 대단한 생명력이다. 전사구에서 잘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