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8세기 말 직물 공업으로 산업혁명을 일으킨 역사적인 공업 도시기도 합니다. 맨체스터 과학기술대(UMIST)는 이렇게 ‘뼛속까지’ 공업 도시인 맨체스터의 가장 큰 대학교이고요, 그 한가운데에 영국국립그래핀연구소(The National Graphene Institute, NGI)가 있습니다.검은 베일에 싸인 건물트램이나 버스를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월 12일 오전 9시, 부산에 위치한 해군 작전사령부. 세종대왕함에서 500m 떨어진 부둣가에 노란 출입통제선이 쳐졌다. 선 너머로 다이버 네 명이 잠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해군 헌병단 수중과학수사대의 훈련현장이다. 고무보트 한 정이 부두 주변을 바쁘게 움직이며 안전을 점검했다. 영하 1℃의 날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세계에서 가장 춥다는 남극 한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89.2℃. 수 분만에 인간의 눈, 코, 심지어 폐까지 얼어붙게 한다. 이런 곳에서 물을 공중에 흩뿌리면 그 자리에서 얼음으로 바뀌고 만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영하 150℃에서 얼지 않은 물을 발견했다.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극저온 상태의 물이 20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2012년 기초연구 우수성과 50선’으로 선정된 연구에 대해 알려주세요.현대 수학에서는 답을 찾기 전에 답이 모여 있는 모임을 먼저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많이 써요. 바로 답부터 찾는 게 어려우니까 답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모임, 즉 공간에 대해 먼저 연구하는 ...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위치 추적 기술은 위성을 이용해 사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로, 스마트폰의 지도 기능이나 자동차 내비게이션 등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에요. 또한 위치 추적 기술은 철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답니다.실제로 과학자들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분야다. 이은성(가톨릭대)·박광식(동덕여대)·박태관(KAIST)·김광명·권익찬(한국과학기술연구원)·박재형(성균관대)·최진희(서울시립대) 등 7명이 상위 1%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화학 분야는 6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윤주영(이화여대)·장석복(KAIST)·김기문(포스텍)·김종승(고려대)·천진우(연세대 ... ...
- [News & Issue] 환경 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올해 발행 50주년을 맞는 환경보건학계의 신뢰받는 학술지. 미국화학협회(ACS)가 발행하는 50여 개의 학술지 중 하나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피인용지수(IF)가 2014년 기준 5.330으로 매우 높은 편이다.‘환경 과학과 기술’은 환경보건학 이슈 중에서도 우리 삶과 밀접한 주제를 다룬다. ... ...
- [News & Issue] 과학동아 창간 30주년, 정부출연연구기관에 잡지 증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확산하는 데 앞장서 온 과학동아에 오히려 감사하다”고 답했다.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을 지원하고 육성하는 컨트롤타워로 2014년 6월 출범했다. 증정식은 1월 6일 오후 3시 서울 용산구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열렸다 ... ...
- PART 2. 물 밖으로 나온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수중과학수사는 물에서 시작하지만, 물 밖까지 이어진다. 수중과학수사대가 찾은 증거를 육상에서 분석하는 연구도 중요하다. 전북지방경찰청(이하 전북청) 과학수사대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수중증거·사체 분석실험을 했다. 유전자, 지문, 부패 세 분야에 걸친 실험은 기존 과학수사와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금속 연료라니, 생소하다. 석탄이든 휘발유든, 난방을 하거나 전기를 만들려면 일단 연료를 불에 태워야 한다. 그런데, 금속을 태울 수 있다고? 건물에 불이 나 홀랑 다 타버려도 결국 끝에 남는 건 단단한 철골 뼈대 아니던가. 꼬리에 꼬리를 잡고 수많은 의문들이 뭉게뭉게 피어났다. 그러나 윤웅섭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