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창고로 레이저 치료 받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붙이기만 하면 빛이 상처를 치료하는 반창고가 개발됐다. 최경철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와 박경찬 서울대 분당병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 ...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테크놀로지 3월 8
일자
에 게재됐다 ... ...
“과체중한 노인은 오히려 심장 건강?” 비만 역설, 거짓으로 밝혀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7
과체중과 비만은 건강에 나쁘다는 것이 상식이지만 노인의 경우 반대로 과체중이나 비만이 심장질환에 의한 사망을 줄여주는 순기능을 한다는 가설이 있다. 이를 ‘비만 ... 위해 체중을 무조건 줄여야 한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학회지 3월 16
일자
에 발표됐다. ... ...
“창의-도전-배려 ‘3C 정신’ 다져… 세계 과학계 선도해 나갈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출신이에요. KAIST 동문 창업 기업 수는 총 1456개나 된답니다. 이 기업들이 3만2000여 명의
일자
리를 만들어냈고 연간 13조6000억 원의 매출액을 내고 있죠. 그만큼 한국 경제에 미치는 경제효과도 크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신 총장은 이제부터는 국내 최고 이공계 대학이 아닌 세계적인 이공계 ... ...
줄었다 늘었다 몸 길이 17.5배 느는 로봇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17.5배까지 늘어나는 새로운 ‘로봇 팔’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 15
일자
(현지 시간)에 발표했다. 조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 팔은 종이접기(오리가미)의 원리를 응용했다. 공학에서 종이접기는 소재를 잘 접어서 특정한 형태나 기능을 갖는 완성품으로 변신시키는 기술이다. 가장 ... ...
KAIST, 소유욕 만드는 뇌 신경회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전시각중추 신경회로가 소유행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KAIST 제공 동물의 소유욕에 영향을 미치는 뇌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연구팀이 ... 말했다. 위 연구 결과는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3월 1
일자
에 게재됐다 ... ...
‘새벽 오로라’의 비밀 최초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03.14
v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 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고층대기로 들어와 발생하는 오로라는 화려한 색채만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중 새벽에 주로 ... 대기 현상의 원인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4
일자
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55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그런데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 3월 5
일자
온라인판에 공감각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를 찾았다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막스플랑크심리언어학연구소를 비롯한 네덜란드와 영국의 공동연구자들은 ‘소리-색 공감각’을 보이는 세 가계를 분석해 공감각자들만 ... ...
눈물로 혈당 재는 ‘스마트 렌즈’
과학동아
l
2018.03.13
UNIST 제공 눈에 끼우는 콘택트렌즈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게 됐다. 당뇨 환자들이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도 쉽게 혈당을 체크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LED가 점멸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25
일자
에 실렸다. doi:10.1126/sciadv.aap984 ... ...
블랙팬서, 비브라늄 슈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03.09
보리스 야콥슨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 교수팀이 국제학술지 ‘ACS나노’ 2013년 10월 5
일자
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카바인은 그래핀에 비해 잡아당기는 힘을 견디는 강도가 2배 더 뛰어나다. 카바인이 그래핀보다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끼리 더 많은 전자를 공유하면서 강하게 결합하고 있기 ... ...
가짜 뉴스 전성시대.. 여기엔 과학적 이유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뉴스로 분류한 2006~2017년 뉴스 12만6000개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9
일자
에 소개했다. 연구진은 이들 뉴스를 직접 인용하거나 공유(리트윗)한 이용자 300만 명의 트윗 450만 개를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수집한 뒤 진짜 뉴스와 가짜 뉴스의 네트워크 내 전파 속도와 범위, 공유 수 등을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