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말미에서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진핵생물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원시적인 형태로
존재
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 동물 3종의 발견으로 이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는 빗나갔지만 수소가설 자체는 여전히 유력한 진핵생물의 진화 시나리오로 남아있다 ... ...
PART 1. 타임머신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훨씬 더 심오한 문제가 들어 있다. 당장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것은 빛보다 빠른 입자의
존재
가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열어준다는 말 때문이겠지만 말이다.빛의 속도는 모든 관찰자에게 일정 물론 빛은 정말 빠르다. 지구 둘레가 4만 km이므로 빛의 속도인 초속 30만 km라는 속도로 간다면 1초에 일곱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양립할 수 없다.상대성이론은 극미시세계에서는 다른 이론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여전이
존재
한다.우리는 시간과 공간을 연속적이라고 느끼지만 아주 작은 시공간에서는 불연속적인 격자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격자의 크기가 너무 작아 일상에서 모든 것을 연속이라고 인식하면 실제와 달리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수는 557개에 육박했고, 관측이 진행될수록 우주의 가속팽창에 대한 반증보다는 그
존재
를 확증하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오고 있다. 2010년 허블망원경 초신성팀은 이 557개의 초신성을 통해 우주의 가속팽창을 99% 이상 확신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그 다음 해 우주의 가속팽창을 발견한 세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겨울철에는 사상최악의 구제역이 돌아 많은 동물이 살처분됐다. 바이러스는 분명 두려운
존재
다.바이러스, 친구인가 적인가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는 심각한 병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런 바이러스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바이러스는 해롭지 않다. 사람이 살아가는 곳이면 어디나 ... ...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존재
한다. 즉 두 순환의 영향이 합쳐져 위도 15~35°에서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사막이
존재
했다. 지구온난화가 사막화를 가속시킨다문제는 사막이 한 번 생기면 계속해서 넓어지려고 한다는 것이다. 사막에서는 바람이 안에서 밖으로 불어 나간다(고기압). 이때 모래가 바람을 타고 주변 지역으로 ... ...
“한·중·일은 하나의 인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뿐이에요.”칸 교수의 연구 결과는 여러 사람을 불편하게 했다. 지역별로 인종 차가
존재
한다고 주장하던 사람들은 받아들일 수가 없었다. 하지만 수많은 후속 연구들 역시 칸 교수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최근 유전체(게놈) 연구에서는 다른 흥미로운 결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배성곤 하와이대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빛의 속도의 99.999999996% 이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히 평행한 두 우주끈이
존재
해야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2악장 - 큰 소리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다가왔지요. 관현악을 이야기할 때 현악기를 빼놓을 수 없어요. 오케스트라의 꽃과 같은
존재
거든요. 특히 바이올린은 주인공이에요. 유럽에서 오케스트라가 각광을 받던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까지 주요 오케스트라의 구성과 규모를 보면, 전체 악기의 약 절반은 현악기가 차지하고 그 가운데 50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탈리(abscission)라고 부른다. 떨어지는 기관은 다르지만 탈리 현상에는 공통된 메커니즘이
존재
한다. 바로 탈리층이라는 특별한 세포무리가 관여한다는 점이다.탈리층은 말 그대로 원래 붙어 있던 두 기관이 분리될 때 분리가 일어나는 면으로 수 개의 세포층으로 이뤄져 있다. 탈리층을 포함한 주변의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