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작지만 매서운 우주의 눈 탑샛영국 국방부와 국립우주
센터
의 지원으로 만들어진 무게 116kg의 탑샛은 2005년 10월 발사돼 그해 12월부터 유용한 정찰 영상을 보내오기 시작했다. 신형 광학카메라 덕분에 이 영상은 차와 트럭을 구별하기에 충분한 2.5m의 해상도를 ... ...
탈옥의 도구는 과학!?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산업용 석물 세척제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는 폭스리버 교도소 마당의 독극물관리
센터
와 정원관리용품 창고에서 두 물질을 몰래 빼돌렸을 것이다.스코필드가 감옥에 들어오기 전 이 작전을 계획하며 남긴 메모를 살펴보자. 스코필드는 이 화학식을 암호화할 방법을 찾은 순간 스스로 ... ...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맨땅에 헤딩 중이지만 곧 비상할 겁니다.”지난 2월 산업은행에 만들어진 트레이딩
센터
퀀트팀의 김상수 팀장은 타고난 금융 ‘통’이다. 고려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영국 레딩대에서 재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산업은행에서 7명의 퀀트 정예군단을 이끌고 있다. 김 팀장은 ... ...
연소공학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일본 등에서 따낸 특허가 최근까지 10개에 이른다. 이
센터
의 수장이 바로 신 교수다.
센터
가 생길 때 ‘산파’ 역할을 한 그는 국내 연소공학계에서 줄곧 선두를 지켜왔다.신 교수가 이끄는 KAIST 연소공학연구실의 높은 기술력은 국내외 주요 회사의 잇따른 러브콜로 증명되고 있다. 그는 특히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우주왕복선 엔데버호의 승무원들은 케네디우주
센터
에서 이륙하는 동안 열을 차단하는 부분의 손상 정도를 검사했다.레이저로 근접 검사를 한 결과, 우주왕복선의 아랫부분에 열 피해를 막아주는 타일까지 뚫린 지름 7cm의 구멍을 발견했다. 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NASA)의 우주왕복선 엔데버에서 이뤄졌다. 수업을 듣기 위해 미국 아이다호의 디스커버리
센터
에 모인 학생들은 우주인 교사의 재미있는 수업에 웃음을 참지 못했다.22년만에 이룬 ‘우주수업’의 꿈 이 수업을 준비한 바바라 모건은 최초의 교사 출신 우주인이다. 그녀를 태운 우주왕복선 엔데버가 ... ...
뮤지컬 CATS로 본 고양이 생활백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고양이에게 ‘천대’를 받는 또 다른 음식은 바로 달콤한 설탕. 2005년 미국 모넬화학감각
센터
의 시아 리 박사팀은 고양이가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연구팀은 고양이와 호랑이, 치타의 침과 혈액샘플을 분석해 이들 고양이과 동물의 혀에는 단맛을 뇌로 실어나르는 ... ...
삼성전자 기흥공장 정전 X파일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단 4시간의 정전. 생산라인 정상화까지 무려 22시간. 피해액 최소 400억원. 지난 8월 3일 경기도 기흥에 있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의 정전 사태에 대한 결과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어떻게 반도체 공장에 정전이 발생할 수 있냐”며 놀랐다. 가정과 달리 공장은 정전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정전 ... ...
보면 오래 사는 별 노인성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언덕 아래 이리 한마리 광채가 무성하네(丘下一狼光蒙茸)왼쪽으로는 아홉별이 둥근 활을 만들어(左畔九箇灣弧弓) 화살 하나가 사나운 이리의 가슴을 겨누고(一矢擬射頑狼胸)노인 한사람이 남쪽 끝에 있는데(有箇老人南極中)봄가을에 나타나면 수명이 무궁하다네(春秋出來壽無窮)중국 수나라(518~61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1992년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을 쏘아올린 KAIST 인공위성연구
센터
출신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벤처기업이다.국내 항공우주산업에 큰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쎄트렉아이, 그 중심에 박성동 사장이 있다. 그는 KAIST 1회 입학생으로 전기전자공학을 전공했다. 졸업 무렵 우연히 인공위성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