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위원회가 밝힌 수상자 결정이유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공동으로 받게된다. 두 사람의 이번 수상으로 IBM쮜리히연구소는 86년에 이어 연달아 노벨
물리학
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됐다.■화학상-페더슨·크램·랭87년도 노벨화학상은 미국인 찰스 페더슨(83) 도널드 크램박사(68)와 프랑스의 장마리 랭 박사(48)등 세명이 공동 수석하게 됐다.스웨덴 한림원은 ... ...
뮐러 IBM 연구원 "시작에 불과하지만···"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철전기(鉄電気)분야 실행위원회 위원이며 쮜리히
물리학
회 회장(1968,69년)을 지냈고 스위스
물리학
회 회원이며 미국물리 학회의 펠로우이기도 하다.뮐러는 이탈리아 나폴리를 여행중 노벨상 수상소식을 듣고 IBM사가 급히 보낸 비행기로 쮜리히 연구소로 돌아왔다.뤼실리콘에 있는 IBM 쮜리히 연구소의 ... ...
유병설/약학 약학은 생명체 다루는 종합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눈부시게 발전한 자연과학이 인류의 문명을 변화시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물리학
이나 화학의 발전에 비하여 생명현상의 신비는 아직도 충분히 벗겨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된다.1960년대에 왓슨과 크리크가 DNA의 구조를 밝힌 이후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더불어 생명과학은 매력적인 ... ...
베트노르츠 "구름위에 떠 있는듯한 기쁨"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4가지상을 받을 정도로 많은 상을 받고있다. 한편 지난해에 이어 연달아 노벨
물리학
상 수상자를 배출한 IBM 쮜리히연구소는 축제분위기로 가득찼다. 이 연구소 연구원 2백여명은 수상자발표당일 연구소내 카페에 모여 수상을 축하하며 축배를 들었다 ... ...
노벨상 수상자 결정에 잡음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노벨상이
물리학
화학 등의 분야 규정을 하는데 너무 경직돼 있어 천체
물리학
이나 지구
물리학
분야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은 거의 노벨상을 수상할 수 없다는 지적이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초기 노벨상 수상자 선정과정에서 벌어진 스웨덴 과학계의 변화과정이라는 맥락에서 파악해 볼 수 있다. ... ...
물리학
의 세계적 권위 케임브리지대 카벤디시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석사과정에서 2년간 훈련을 거치고 오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케임브리지대
물리학
과의 박사과정에는 매년 55명 정도가 입학하는데, 이중 15∼20명이 케임브리지대출신이고 15명이 영국내의 타대학출신 그리고 20여명이 세게각국에서 유학오고 있다는 것이다. 1년간의 학비와 생할비는 약 ... ...
박봉렬/
물리학
물리학
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성과도 세계 무대에서 평가되고 있다. 서울대학교의 소립자
물리학
그룹만 하더라도 매년 10 편 정도의 논문을 외국의 유명 학술지에 발표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이처럼 우리나라 소립자
물리학
의 연구가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이 시점이야말로 ... ...
전쟁에 동원되는 전자기술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의해 발명되었다. 그러나 벨연구소의 연구는 2차대전중에 행해진 정부지원의 고체
물리학
연구로부터 발전했던 것이다. 가치가 높고 생산량이 적은 부품에 군(軍)이 초기에 투자를 안했다면 현재의 고집적반도체의 대량생산은 몇십년 후의 일이 됐을 것이다. 최초의 반도체가 시장에 출하돼 나오면서 ... ...
컴퓨터로 제품결함 발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처음 착안했다해서 '키위비전'이란 이름이 붙어있는 이 시스팀은 그뒤 이 대학의
물리학
교수에 의해 구체적으로 개발되었고 그 결과가 메이커들이 관심을 끌게된 것.이 시스팀은 밀가루 포대 속에 있는 벌레에서부터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유리병속의 위험한 유리조각에 이르기까지 갖가지 물건을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광학현미경보다 한 차원 높은 전자현미경이 등장하면서 비로소 해소되었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
상을 공동수상한 독일의 '루스카'가 1931년 완성한 전자현미경은 기존의 광학현미경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우선 광학현미경에서는 물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을 렌즈로 확대해 보는데 반해,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