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필요하다고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기기를 갑자기 그것 없이는 살 수 없게 만드는 비상한
능력
을 지녔다”고 말이다. “화려한 화면, 깨끗한 소리, 터치감 최고”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 개발회사를 다니는 김종찬 씨(사진)는 온라인상에서 아이패드 전도사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 어바인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극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알았다. 이 전자전달 반응이 미생물연료전지의 전기생산
능력
을 향상시키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미생물연료전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생물의 종류와 인공전자전달매개체를 선별하기 위한 연구가 주로 이뤄졌다.포도당처럼 단위 무게당 ... ...
내면의 조율사,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 실제로 야구를 하거나 춤을 배우는 아이들이 자신의 동작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
을 연습할 때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더 뛰어난 기량을 발휘한다고 한다.우리의 삶은 이야기로 구성돼 있다. 도시 한복판에서 스마트폰으로 트위터에 접속하는 현대인도, 아마존에서 짐승과 물고기를 잡으며 ... ...
수학자? 과학자?①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메디아사이의 전쟁을 멈추게 한 일식을 예측했다고 한다.과학데카르트는 뛰어난
능력
으로 과학에서도 여러 분야에 업적을 남겼다. 생리학에서는 인간이 정신과 몸의 결합체라고 주장했다. 정신과 몸은 각각 별개이며 신경관을 통해 움직이는 미세한 물질이 진동을 전달해 몸을 움직인다고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똑같게 되었네요. 불가능해 보이던 문제가 이렇게 명쾌하게 풀리다니 베레미즈의 계산
능력
이 정말 대단합니다.무슨 진법이 좋을까?“가장 오래 된 수 체계는 각 단위를 다섯 개씩 한 그룹으로 나누는 오진법이지요. 다섯 개의 단위로된 각 그룹을 퀴니라고 합니다. 8단위는 1퀴니와 3이며 13이라고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힘들었죠. 모두가 하루빨리 우주망원경을 고치겠다는 생각만 하는 것 같았어요. 인간의
능력
이 참 대단하다는 걸 느꼈죠.”허블우주망원경은 소유의 개념이 적고 관측 호환성을 갖춰 천문학 연구에 널리 쓰인다. 하지만 여전히 최초 관측 제안자에게 1년간 데이터 독점권을 준다. 그는 관측과정을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허탈감이 컸다.정식 시험은 아니었지만 지난 1월 25일과 26일에도 아라온호는 쇄빙
능력
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했다. 역시 얼음이 문제였다. 25일엔 얼음이 너무 약했는지 배가 닿자마자 균열이 생기면서 갈라져 버렸고 26일엔 두께가 2m로 너무 두꺼워서 쇄빙 시험을 진행하지 못했다.실패 원인 찾고 물 ... ...
“수시 80% 확대… 창의적인 인재 선발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에 대한 생각은? 내신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뽑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본적인 수학
능력
을 검증하기 위해 내신 성적의 검토가 필요하다. 단, 학력 검증 과정에서 잠재력 있는 학생들이 탈락될 수 있으므로 그 비율을 최대한 조정하고 있다. 그런 의도로 기존에 내신성적을 기준으로 선발하는 인원을 ... ...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어느 부분이 발달했는지를 알아 낼 수 있거든요. 이런 과정을 통해 이 동물에게 어떤
능력
이 있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지요. 아르디피테쿠스의 경우, 오늘날의 사람처럼 시각과 공간을 파악하는 뇌가 발달하기 시작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 지금은 멸종한 친척 인류 ‘호모 ... ...
바뀐 규정에 강한 라인트레이서 블루샤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권당 9800원탐구토론 종목에서는 한 가지 주제를 두고 3인 1조로 토론하며 누가 문제 해결
능력
이 있는지 겨룬다. 예를 들어 ‘기후 변화의 영향과 대책 탐구’ 같은 주제가 나온다. 초등과학뒤집기는 주제별로 내용이 정리돼 있어 기본 지식을 쌓기 좋다. ‘시앙스가이드’ 2010년 봄호 출간 신나는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