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과학동아 l1989년 08호
- 2배수를 1차로 뽑은 뒤 그중에서 우선 일본인학생으로 정원의 3분의 2를 메우고 나머지 자리를 한국인 학생에게 기회를 주었다. 일제는 한국인 학생들이 일본인 지원자보다 성적이 아무리 우수하다고 해도 낙방시킬 구실을 얼마든지 만들어 냈다. 한국인학생의 사상적배경을 들먹거릴 수도 있고 ... ...
- 자폐증 밉지 않은 「레인맨」,그러나 방치하면 큰일과학동아 l1989년 07호
- 많았다.그러나 현재 알려진 바로는 반 정도의 자폐아는 보통 정도의 지능수준이다. 나머지 반 정도는 오히려 정성 이하의 지능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학자는 자폐증 환자가 보이는 특이한 기억능력은 이들의 관심의 촛점이 별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즉 보통 사람이 무심히 지나치는 일들에 ...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과학동아 l1989년 07호
- 안간힘을 쓰고있는 것이다. 이중 미국정부가 지원하는 금액은 1억달러정도이고 나머지는 기업들이 나눠 분담 한다는 것.미국은 세마테크를 통해 지난 3월말 64KS램용 웨이퍼생산을 시작했으나 앞으로 단시일내에 일본을 따라잡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미정부와 기업들이 공동으로 결성한 ...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과학동아 l1989년 07호
- 어려움이 있다. 과기대생 전체 설문조사를 한 결과 3분의 2 이상이 과학원 진학을 원했고 나머지는 유학 및 취업을 선택했다. 물론 입학시험을 치루어 과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면 되지만, 과기대 학생들은 또한 과학영재의 조기발굴 양성이라는 목적에 호응, 과학고 2학년만을 마친 학생들이 상당수 ... ...
- 첨단과학기술의 주춧돌이 되기도과학동아 l1989년 07호
- 89년 제1차국제도량형 총회(CGPM)에서 그중 하나인 6번 원기를 (No.6)국제미터 원기로 정하고 나머지는 No.6와 비교 측정한 후에 각국에 분배하였다. 우리나리에 도입된 미터원기는 No.10C로 현대 한국표준연구소에 보관되어 있다.그러나 그후 세계 각국에서 빛의 파장을 기준으로 하여 미터원기를 측정한 ... ...
- 통계의 함정 숫자놀음이 많다과학동아 l1989년 07호
- 어린이들의 분포가 대칭일 때에는 분포의 가운데에 있게 되고 따라서 절반은 평균이상, 나머지 절반은 평균이하가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평균은 국민학교 어린이 집단을 나타내는 하나의 숫자일 뿐이지 바람직한 정상수준을 말해주지는 않는다.이러한 산술평균이 무의미할 때도 많다. 예를 들어 ...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과학동아 l1989년 07호
- 국공립병원 보건소 등 공공의료기관은 우리나라 전체 의료기관의 20%에 불과하다. 나머지 80%의 병·의원은 민간이 운영하므로 의료를 돈으로 팔고 사는 것이 마치 당연한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또 의료기관의 86%가 도시지역에 몰려 있다고 한다.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갖고 있는 사람이 ...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과학동아 l1989년 06호
- 핵심 과학두뇌로 양성할 거예요. 즉 4천명은 과학기술원, 9천명은 국내 이공계대학원, 나머지 2천명은 해외과학자로 충당하게 되지요.구체적으로는 우선 국토권역별로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려고 합니다. 중부권은 과기대, 영남권은 포항공대, 호남권은 일류공과대학에 이 역할을 맡길 계획이에요. ... ...
- 내일의 자동차 세라믹차는 어떤 것일까과학동아 l1989년 06호
- 나오는 에너지중 48% 정도가 동력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35% 정도가 배기로 배출되고 나머지 17% 정도만이 엔진의 냉각을 위해 소모되는 것으로 계산되고 있다. 즉 현재의 효율 35%에서 48%로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인데, 이것은 참으로 획기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엔지니어링 세라믹스의 삼총사이와 같은 ...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과학동아 l1989년 06호
- 이중 1개체분의 사람뼈는 보기 드믈게 거의 손상되지 않은 완전한 뼈대를 갖추고 있었고 나머지 1개체분은 크기가 작고 머리부분이 이미 없어진 상태였다. 이교수는 유물들이 발굴된 굴을 첫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흥수굴'이라 명명하고 사람뼈에는 '흥수아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그후 흥수아이에 ... ...
이전257258259260261262263264265 다음